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투자 3가지 방법, 중국 증시 등
유튜브: 삼프로TV, 안유화 교수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
<중국 양회 내용>
1. 리커창 총리, 올해 경제 성장률 최저치 목표 6%. 예상치 보다는 낮은 수준. 질적 성장에 집중할 계획
2. 실제로 시장에서 예상하는 경제성장률 수준 7.5% 이상. 안유화 교수는 향후 5년 잠재적 성장률 5% 정도 예상.
3. 재정정책, 통화정책 많이는 계획하고 있지 않음. 정확하게 타겟을 조준해서, 천천히 조율하는 정책을 펼치겠다는 표현.
<주식투자 3가지 방법>
-> 주식투자할 때 3가지 중 하나는 하고 있어야 함.
1. 첫 번째, 금리 변화에 따라 투자 하는 것. 현금흐름/금리 = 자산가격. 금리가 높아지면 주식가격 낮아진다.
- 금리를 읽는 것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성을 읽는 것.
- 미국, 중국 중앙은행 흐름은 읽어야 함.
2. 두 번째, 현금흐름을 보는 것. 기업의 성장률(g)을 보는 것.
- 장기적으로 기업의 운명과 같이 가는 투자.
3. 세 번째, 남보다 정보를 1초라도 먼저 알고 들어가는 방법.
- 데이 트레이딩, 매매를 통해 돈 버는 것.
-> 주식투자 하려면 셋 중 하나는 해야 함. 당장 주식이 떨어져서 속상할꺼면, 주식투자 하면 안됨. 일희일비 하면 안됨.
<올해 중국 주식시장>
1. 유동장세로 올라간 증시는 유동성이 줄어들면 떨어질 수 밖에 없음.
2. 21년도 중국증시는 15년과 비슷할 것 같음.
- 15년에 증시 무너지고, 16년 17년 회복.
- 18년에 증시 무너지고, 19년 20년 회복.
- 중국 증시 최근에 2년 잘가다가 1년 동안 무너지고. 무너질 때 50% 정도 하락하고, 그 다음 2년간 회복하고 패턴 반복
3. 21년은 중앙정부 정책에 따라 중국 증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해.
- 성장주 보다 경기민감주, 순환주 오름.
- 다만, 15년 같은 대폭락은 오지 않을 것.
- 주식은 단타로 하면 안됨.
4. 중국 부채가 많아서, 18년에 정리를 하려고 했는데, 미중 무역전쟁 때문에 못함.
- 21년은 부채를 줄이려고 하는 정책.
5. 중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은, 중국에 베팅하는 것. 5년 뒤, 10년 뒤, 50년 뒤 중국을 보고 투자하는 것인지 정하고 투자 해야 함.
- 2030년이 되면 중국 GDP가 24조 달러가 됨. 수입규모가 27조달러가 됨. (미국GDP가 지금 20조 달러)
- 단타하지말고, 장기적으로 봐야 함.
<중국 증시 중 주요 섹터 관련 의견>
1. 바이오 주식 정말 조심해야 함.
- 바이오 주식 제대로 분석할 수 있는 사람 중국에도 3명 정도 밖에 안되는 것 같음.
- 모르고 투자하는 것, 다 투기라고 생각 함.
- 이익도 안나오고 돈 만 태우는 회사 정말 많음.
2.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업체는 업종별로 언제 현금흐름을 주는지가 다름.
- 지금은 배터리 관련해서 확실한 기업에 투자하는게 좋음.
- 3년 정도 후를 보고 투자.
-> 의견: 중국 증시 관련 의견 뿐만 아니라, 주식투자를 하는 방법 관련해서도 굉장히 직설적으로 뼈를 때리는 좋은 말씀을 해주신 것 같아서 많이 공감이 됩니다.
장기적으로 2028년부터는 중국이 GDP 측면에서 미국을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서 저도 중국 투자 비중을 조금씩 가져가야 하는지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21년도 전반적으로 중국 시장에 대해 공부를 해보면서 10년 후를 보고 투자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주식투자 3가지 방법 중에서, 개인 투자자는 3번을 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1번 같은 경우에 안교수님 말씀처럼, 삼프로TV등 여러 뉴스를 보면 각국 정책에 따라 나의 포트폴리오를 조정해가면서 잘 대응을 해볼 수 있는 영역인 것 같구요.
2번 같은 경우에 회사를 볼 수 있는 안목과 연구, 분석이 필요한 방법이라서 항상 10배, 100배 수익이 날 수 있는 좋은 회사가 있는지 잘 살펴보고 신중히 투자하려고 합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투자자 - 벤자민 그레이엄 (2) | 2021.03.16 |
---|---|
미국 금리와 증시 - 김영익 교수 (1) | 2021.03.15 |
이더리움 - 스콧 갤러웨이 (3) | 2021.03.12 |
10년 동안 따라 하며 배운 젊은 부자들의 특징 - 드로우앤드류 (1) | 2021.03.11 |
기업가치 VS 유동성 - 하인환 연구원 KB증권 (1)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