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구글 15

[기업 탐구] 온라인 광고의 엄청난 영향력 - 구글 (알파벳), 페이스북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기업에 대해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주는 광고 매출이 전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글(알파벳)과 페이스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업 기본 정보] -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 양면시장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 - 이용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다른 한편에 광고주들에게 광고료를 받으면서 이용자에게 광고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함. - 1998년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라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두 대학원생이 설립. - 회사가 커진 뒤, 에릭 슈밋이 CEO가 되어 구글에 합류. 이후 적자에서 벗어나면서 10년 만에 세계 최대의 검색 포털 사이트로 성장. - 광고 플랫폼 모델을 통해 인터넷으로 무료 서비..

[산업 탐구] 다양하게 확장하는 매체와 광고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산업에 대해 분석,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주는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는 매체와 광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산업 특징] - 기존에는 지면, 라디오, TV 등 매체를 통한 광고가 많았으나, IT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광고가 다양하게 확장 중. - 사용자가 많은 서비스, 플랫폼의 경우 기존 매체사들을 뛰어넘는 사용자 파워를 보유하고 있어서 광고 사업 확장에 용이. - 개인을 대상으로 한 IT 플랫폼 기업의 경우, 플랫폼의 대규모 사용자를 활용한 광고를 통해 수익화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 (구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카카오, 네이버, 트위터, 스냅 등) - 특히 개인 소비자의 쇼핑, 커머스와 연계된 광고가 크게 확장 ..

코로나에 더 큰 빅테크…애플·MS·알파벳·테슬라 역대급 실적_21.07.28

애플과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테슬라 등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올 2분기 시장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 애플의 2분기(애플 자체 기준 3분기) 매출은 814억1000만달러(한화 약 93조9470억원)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월가 추정치 733억달러도 웃돌았다. - MS의 2분기(MS 자체 기준 4분기) 매출은 461억5000만달러(53조257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역시 월가 추정치 442억4000만달러를 웃돌았다. -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2분기 매출은 618억6000만달러(71조3864억원)를 기록해 작년 동기 대비 61.6% 증가했고, 월가 예상치 561억600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

구글과 협력하는 현대차, 카카오?_21.04.02

구글이 카카오모빌리티에 투자 한다는 소식과 현대차가 구글과 협력한다는 소문. - 카카오모빌리티는 구글로부터 565억원(지분율 1.7%)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4월 1일 공시. - 정확히는 알파벳의 자회사인 Google International LLC가 투자. DART 공시자료 - 카카오모빌리티의 주주: 카카오 (64.4%), 텍사스퍼시픽 그룹 컨소시엄(28.3%), 칼라일 그룹 (6.6%) - 카카오모빌리티 입장에서는 플랫폼 안에 더 콘텐츠가 필요한 상황으로, 구글과 협력을 통해 플랫폼 경쟁력 강화 가능. - 구글의 자회사 Waymo(웨이모)와 함께 자율주행 기술 협업 가능. 구글, 카카오모빌리티에 투자…빅테크 전쟁 시작됐다 글로벌 빅테크 구글이 카카오모빌리티에 전략적 투자(SI)를 했다. 구글이 ..

[주간 투자 동향] 21년 2월 1주 차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미국 증시 상승 랠리 이어가며, 작년 11월 이후 3개월 만의 최고의 한주 보내며 마감 - 경제지표 부진에도 불구하고, 경기부양책에 대한 논의 진전 (미국 상원 권력 교체 마무리), 백신 접종 속도 가속화로 시장 안정 - 공매도 공략 종목 주가 진정으로 시장 안정 - 주요 테크 기업 호실적으로 목표주가 상향 [시장 전반 – Fear & Greed 지수] - 시장 안정으로 Greed로 전환 - VIX 지수 다시 안정세 [섹터 - 주간 등락률] - 모든 섹터 전체 상승 [종목 – 주간 등락률] - 시장 안정 및 경기부양책 진전으로, 전반적으로 상승세 - 호실적을 기록한 구글, 페이팔의 경우 실적 발표 이후 큰 폭 상승세 보임 - 매출액이 예상치 보다 부진했던 퀄컴의 경우 시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