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
월간 투자 동향과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종목, 섹터에 대해 정리하고, 공유드리는 공간입니다.
[시장 전반 – 월간 동향]
- 3월의 경우, 미국 국채금리 추이에 따라 변동성이 컸던 한 달로, 업종간 조정이 크게 나타남.
- 금리가 올라가면 상대적으로 가치가 하락하는 성장주의 경우 대폭 주가 조정되었으나, 그간 눌려있던 가치주의 주가가 오르는 모습을 보임.
- 3월 한 달간 큰 변동을 보인 나스닥에 비해 다우 지수와 S&P 500은 경기 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 지속적으로 유지
월간 미국 지수 등락 |
|
나스닥 |
+0.4% |
S&P 500 |
+4.2% |
다우 |
+6.6% |
- 나스닥의 경우 3월 말로 갈수록 성장주의 하방경직성을 보이며, 금리 추이에 따른 주가 변동이 줄어들고 있는 모습.
- 금 하락세가 조금 진정되었고, 유가 또한 상승세 진정 국면.
- 페이팔이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추가하고 골드만삭스가 개인 자산관리 고객들에게 비트코인 투자를 제공하겠다는 뉴스에 지난달에 이어 상승세 이어 감.
월간 기타 지수 등락 |
|
원/달러 |
+0.7% |
금 |
-0.8% |
WTI |
-3.8% |
비트코인 |
+38.1% |
- 중국 지수의 경우, 유동성을 축소하겠다는 양회 논의와 미중 무역 전쟁 우려에 따라 하락세 보이며 미국 시장과 달리 하락세 보임.
월간 중국 지수 등락 |
|
상해종합 |
-1.9% |
항셍 |
-2.8% |
- 국내의 경우 코스피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성장주 위주 코스닥은 소폭 하락.
월간 국내 지수 등락 |
|
코스피 |
+1.6% |
코스닥 |
-0.2% |
- 4월의 경우 1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질 예정으로, 각 종목 별로 실적에 유의하여 투자 필요한 시점.
[섹터 – 월간 등락률]
- 지난달에 이어 경기 회복 기대감에 산업재 큰 폭의 상승세 이어감.
- 그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2월 하락했던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회복.
상위 3개 섹터 |
|
유틸리티 |
+9.7% |
산업재 |
+8.6% |
필수소비재 |
+7.9% |
- 유가가 주춤하면서 에너지 섹터 소폭 상승.
- 국채 금리 변동성 확대로 가장 큰 변동성을 보인 테크 섹터는 소폭 만회하며 하방경직성 보임.
하위 3개 섹터 |
|
테크 |
+1.6% |
에너지 |
+1.9% |
커뮤니케이션 |
+2.5% |
<S&P 500 월간 등락률>
[종목 – 월간 등락률]
- 산업재 및 소매업 등 경기 정상화 관련 주 상승.
- 아르셀로미탈 (철강 제조) : 바이든의 인프라 투자 계획 소식에 철강 수요 상승 기대감으로 큰 폭 상승.
- 보잉 (항공 제조) : 경기 정상화에 따른 항공 수요 회복과 신규 항공기 수주 소식에 상승.
- 레너 (주택 건설), 로스 & 홈디포 (주택용품 소매업) : 경기 재개 기대감으로 주택 건설 및 주택관련 소매 업종 상승.
상위 5개 종목 |
|
아르셀로미탈 |
+25.4% |
레너 |
+22.0% |
보잉 |
+20.1% |
로스 |
+19.1% |
홈디포 |
+18.1% |
- 한국계 대표가 운영하고 있는 아케고스 (Archegos Capital)의 마진콜 사태로 3월 말 영향을 받은 미디어 업종, 중국 테크 업종 하락.
- Viacombs (미디어) : 마진콜 사태로 인한 블록딜로 주가 급락. 투자 유의! 😱
- Credit Suisse (투자은행) : 마진콜 사태로 약 20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되며 주가 급락. 크레딧 스위스의 경우 자사주 매입 계획을 철회해야 할 것으로 예상. 투자 유의!😱
- 바이두 (중국 인터넷), 핀뚜어뚜어 (중국 이커머스) : 마진콜 사태의 영향, 그리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부적격 중국 주식의 상장 폐지 법안 추진에 따라 주가 하락
- 도어대시 (배달 플랫폼) : 성장주 하락세로 인해 스노우플레이크(클라우드) 등 최근 IPO된 테크 주식 하락세 보임.
하위 5개 종목 |
|
Viacombs |
-30.1% |
Credit Suisse |
-26.6% |
바이두 |
-23.3% |
도어대시 |
-22.6% |
핀뚜어뚜어 |
-21.8% |
[종목 – 월간 주요 종목 및 섹터]
- 3월 초에 성장주 고평가 우려로 주요 테크 기업들의 주가 하락이 있었으나, 3월 말 반등하거나 횡보하는 움직임 보임.
😱 텔라독 : 아마존이 원격진료 사업에 진출하여 사업을 확장한다는 소식에 3월 초 급락 후에서 하락세 보임. 아직 적자를 지속하고 있는 회사이므로, 성장성이 확인된 후 신중한 투자 필요!
😨 도어대시 & 스노우플레이크 : 20년 말 IPO 진행한 두 테크 기업 모두 3월에 꾸준한 하락세 보이는 중. 바닥을 확인한 후 투자 필요하며, 역시 적자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신중한 투자 필요!
😪 로쿠 : ARK에서 투자한 스트리밍 기기 업체로 1월까지 급등하였으나, 고평가 우려로 급락세 보임. 최근 콘텐츠 관련 투자를 통해 기기뿐만 아니라 플랫폼 업체로서 확장하고자 함. 그러나 역시 적자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신중한 투자 필요!
[종목 – 국내 월간 등락률]
- 국내에서도 산업재 중심 경기회복 관련 주식 상승세 보임.
-과열된 종목들이 있어 유의하여 투자 대응 필요.
- HMM (해운) : 해운 업황 회복 기대감에 큰 폭으로 상승. 급하게 큰 폭으로 상승한 만큼 투자 유의 필요! 😧
- 금호석유 (석유화학) : 전방 산업 업황 회복 기대감으로 상승.
- 두산밥캣, 두산중공업 (산업재) : 부동산 개발 계획 및 주택 수요 상승으로 건설기계 관련 기대감 상승.
- KB금융 (은행, 금융) : 금리 상승에 따라 금융 주 수혜.
상위 5개 종목 |
|
HMM |
+46.6% |
금호석유 |
+26.5% |
두산밥캣 |
+25.4% |
KB금융 |
+25.3% |
두산중공업 |
+19.3% |
- SK케미칼, SK바이오팜 (석유화학, 제약) : SK바이오사이언스 IPO 이후 부진한 주가를 보이며 바이오 관련 계열사 동반 하락세.
- 더존비즈온 (ERP 소프트웨어) : 글로벌 사모펀드 투자유치로 인해 일시적으로 주가 하락세. 해외 진출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어, 주가 추이 지켜볼 필요 있음. 🙄
- 현대차 (자동차),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에너지) : 전기차 관련 기대감에 고평가 우려로 하락세 지속.
하위 5개 종목 |
|
SK케미칼 |
-32.1% |
더존비즈온 |
-13.3% |
SK바이오팜 |
-11.4% |
현대차 |
-7.6% |
SK이노베이션 |
-7.5% |
[종목 – 신규 매수]
-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헬스케어 및 보험 서비스) : 다우지수에 편입되어 있는 미국 최대 의료보험사. 금리 상승기에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테라다인 (반도체 테스트 기기 설계 및 제조) : 반도체 업황 호조에 따라 안정적인 사업과 높은 ROE를 유지하는 업체로 판단. 고점 대비 20~25% 하락 시점부터 분할 매수 진행.
- 대림건설 (건설) : 주택 등 건설 수요 확대에 따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업체로 판단. 높은 ROE를 유지하면서도 PER 수준이 타 건설사에 비해 낮음.
- 셀트리온 (바이오) : 올해 3.3조 원 매출이 기대되며, 신제품 출시에 따른 수익성 개선 기대. 고점 대비 20~25% 하락 시점부터 분할 매수 진행.
[종목 – 비중 조정]
- QQQ (나스닥 추종 EFT), SPY (S&P 500 추종 ETF) : 시장 조정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 지난달에 이어 분할 매수.
- 헬스케어 섹터 (XLV), 유틸리티 섹터(XLU) ETF :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섹터 지난달에 이어 분할 매수.
- 애플, 엔비디아 : 좋은 실적이 뒷받침되나, 크게 조정을 받은 테크 주의 경우 지난달에 이어 분할 매수.
- 제이피모건, 스타벅스 : 각각 금리 상승, 경제 재개 기대에 따라 추가 상승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신규 분할 매수.
- 큰 폭으로 하락한 테크 기업의 경우 하방경직성을 보이며, 반등이 나올 것으로 생각되며, 4월에는 21년 1분기 실적을 보면서 추가 매수 여부 결정하고자 함. 📈
[다음 달 대응 전략]
- 3월 초에는 성장주 위주로 주가가 급락하면서, 시장에 대한 우려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FOMC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시장이 금리 상승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미국 지수의 경우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중국의 경우, 유동성을 거둬들인다는 양회 발표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며 미국 시장과 디커플링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4월의 경우 실적 시즌이 시작되므로, 특히 실적이 뒷받침되는 종목들의 상승세가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
- 금리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4월 중 실적이 좋지 않은 종목은 주가 또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21년 1분기 실적을 찬찬히 분석해 보고 비중을 조절해야 하는 종목이 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
- 적자를 유지하는 성장주의 경우, 실적 추이를 더 민감하게 살펴보고, 저점 매수 기회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시장의 변화 속에 빠른 성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를 분석해보면서 매수 판단을 하려고 합니다. ✍
※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에 따라 스스로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셔야 하며, 그에 대한 결과는 모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각자의 투자 원칙을 만드시고, 그 원칙에 따른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데이터 출처: 미래에셋대우증권, finbiz.com, sectorspdr.com, finance.yahoo.com
'Daily 투자일지 > 월간 투자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간 투자 일지] 21년 6월 - 국채금리 하락에 안정을 찾은 증시 (0) | 2021.07.02 |
---|---|
[월간 투자 일지] 21년 5월 - 박스권 증시, 조정의 끝은? (0) | 2021.06.02 |
[월간 투자 일지] 21년 4월 - 사상 최고가 행진! 5월에는 어떨까? (0) | 2021.05.05 |
[월간 투자 일지] 21년 2월 - 변동성이 커진 시장! 3월에는 어떻게 대처할까? (0) | 2021.03.03 |
[월간 투자 일지] 21년 1월 (1)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