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투자일지/트렌드 탐구

[트렌드 탐구] NFT가 경제적 영향력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것

샬롯의 투자일지 2021. 12. 22.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

 

트렌드 탐구 카테고리에서는 최근 인상 깊었던 트렌드 관련한 생각을 정리하고 공유하려고 합니다.

각자 미래를 그려보고, 고민하신 후에 투자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트렌드는 NFT입니다.

최근 NFT 관련 소식으로 투자업계가 들썩이는 것 같습니다.

 

 

NFT란?

 

-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토큰 마다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이 부여되어 '희소성'이라는 개념이 적용 됩니다.

- 현재 가장 영향력 있는 NFT는 크립토펑크이고, 하나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최소 30만 달러 (약 3.2억 원) 가 필요합니다.

크립토펑크 NFT / 출처:  https://opensea.io/collection/cryptopunks

 

- NFT는 미술품, 게임, 팬덤,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시장이 커짐에 따라 NFT 거래소와 유동화를 위한 금융서비스, 가치평가 시스템 등 NFT 생태계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해석

 

현재 NFT 트렌드는 기존 산업과 달리 아래 3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창작자의 저작권

- 책,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들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이제는 NFT라는 시스템을 통하여 거래가 될 때, 창작자 또한 수익을 공유 받을 수 있고 이를 누구나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 기존 산업에서 창장자의 저작권 보호에 다양한 이슈가 있었고, 미흡한 점도 많았습니다.

- NFT를 활용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소유권

- 저작권과 소유권이 분리되어 있으며, 소유자는 마켓플레이스에서 NFT를 매수, 매도 할 수 있습니다.

- NFT는 한정된 발행량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희소성'이라는 가치가 부여되며, 한정된 자원을 소유한 사람들간의 커뮤니티가 형성됩니다.

 

3. 거래를 위한 마켓플레이스

- NFT를 사고 팔기 위해서 마켓플레이스가 형성됩니다. 현재 가장 활성화된 마켓플레이스는 Opensea 입니다.

 

Opensea 웹사이트 / 출처:  https://opensea.io/

 

경제적 임팩트

 

이러한 트렌드가 경제적 임팩트를 가지기 위해서는 아래 3가지 요소가 필요해 보입니다.

 

1. 거래의 의미

- NFT의 거래가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거래가 되어야 합니다. 현재는 신기술의 초반 관심과 투자에 대한 기대감으로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것 같습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 NFT 거래가 의미가 있으려면 창작자의 소유물을 나눈다는 의미가 모든 참여자들에게 전달이 되어야 합니다.

 

2. 새로운 수익모델

- 기존에는 저작권,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가상자산에 의미가 부여되고 수익화가 가능해졌습니다.

- 창작물에 대한 거래를 통해 수익을 공유한다는 개념 또한 모든 참여자들에게 잘 전달이 되고 이러한 수익모델이 잘 정착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3. 마켓플레이스 활성화

- 현재는 투기 수요가 많지만, 거래의 의미와 새로운 수익모델을 잘 인지하고 있는 시장 참여자들이 의미 있는 거래를 이어가는 마켓플레이스 또한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 법적, 그리고 시스템적 이슈를 잘 해결해나가는 것도 하나의 과제입니다.

 

 

NFT의 경우 아직 경제적, 법적인 이슈를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트렌드를 잘 따라가면서 투자 기회가 있을지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국내의 경우 다날, 위메이드, 카카오, 서울옥션 등이 NFT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어떻게 실제로 시장에서 평가를 받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에 따라 스스로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셔야 하며, 그에 대한 결과는 모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각자의 투자 원칙을 만드시고, 그 원칙에 따른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출처: 유진투자증권 https://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11005_B4530_kyoungkt_643.pdf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