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경영자가 그록대학, 퍼플렉시티대학 안다니고 관리할 수 있을까? - 티타임즈
1. AI 시대,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 변화
- AI를 잘 쓰는 리더가 되려면 직접 써봐야 구성원에게 지시하거나 평가할 수 있음.
- 구성원도 AI를 활용해 의미 없는 노동은 줄이고 창의적이고 중요한 일에 집중 가능.
2.생성형 AI와 업무 방식의 변화
- 생성형 AI는 박사급 인력을 무한정 쓸 수 있는 것 같은 효과를 줌.
- 연구나 실무에서도 논문 조사, 코딩, 아이디어 도출 등의 방식이 효율적으로 변함.
- 과거 구글 스칼라가 연구 방식을 바꾼 것처럼, 생성형 AI도 연구와 업무의 질과 속도를 혁신함.
3. AI의 영향: 성과 격차 해소 vs 확대
- AI는 반복적 업무(콜센터 등)에서는 미숙련자의 성과 향상에 도움.
- 반면 고부가가치 창의적 업무에서는 숙련자와 미숙련자의 격차를 더 벌릴 수 있음.
- AI가 전문성을 높일 수도, 오히려 위협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공존.
4. 관리자의 역할 변화
- AI가 팀의 일부가 되면서 관리자는 사람만이 아니라 AI 에이전트와도 협업해야 함.
- 이는 리더십의 맥락 자체를 바꾸고, 그에 따라 관리자의 행동과 역할도 바뀔 수밖에 없음.
5. 업무 구조와 직무 경계의 변화
- 생성형 AI는 전통적 직무 경계(인사, 마케팅 등)를 허물고 있음.
- 조직은 효율성뿐 아니라 유연성과 협업 중심으로 진화 중.
- 스타트업에선 더 적은 인원, 더 짧은 시간 안에 결과물(MVP)을 만드는 시대로 진입.
- 대기업에선 AI 덕분에 업무 여유 시간 30% 확보, 효율성↑
6. 결론: 지금은 ‘써보는 것’이 가장 중요
- 조직과 리더 모두 AI를 ‘이해’하려 하지 말고, 직접 ‘사용’해보는 것이 변화의 시작.
- AI와 함께 일하는 법은 학습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익혀야 함.
→ 의견: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뽑지말고 AI시켜라’ ‘남아 있으려면 성과 증명해라’ - 티타임즈 (0) | 2025.04.30 |
---|---|
목적형 쇼핑에서 발견형 쇼핑으로 전환하는 아마존 - 티타임즈 (0) | 2025.04.23 |
트럼프의 새로운 무기 반도체 장비 안 팔아요 - 언더스탠딩 (1) | 2025.04.21 |
엔비디아는 이제 반도체 만드는 회사가 아니다 (GTC 2025 리뷰) - 티타임즈 (0) | 2025.04.16 |
한국은 관세 폭탄인데, 캐나다는 관세 면제? - 언더스탠딩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