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트럼프의 새로운 무기 반도체 장비 안 팔아요 - 언더스탠딩
1. 기존의 반도체 무관세 원칙
- 반도체는 전자제품의 필수 부품이라 대부분 무관세로 거래됨.
- 1996년 미국 주도로 WTO의 정보기술협정(ITA)을 통해 무관세 체계 구축.
2. 변화의 시작: 트럼프 행정부
- 2018년 트럼프가 중국 견제를 위해 중국산 반도체에 25% 관세 부과 시작.
- 이후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최대 70%까지 관세 인상됨.
3. 최근 조사 움직임
- 미국 상무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중.
- 최대 270일 걸릴 수 있으며, 이 조사 결과로 새로운 관세정책이 나올 수 있음.
4. 조사 항목과 의도
- 시장 구조 및 외국 정부 보조금, 불공정 무역 관행 조사.
- 특정 반도체 제품은 미국산 장비 없이는 생산 불가능한 점에 주목.
5. 품목별 관세의 한계
- 반도체는 철강·자동차처럼 단순 품목별 관세 부과가 어려움.
- 미국 내 생산 인프라 부족으로 일률적 관세는 실효성 낮음.
6. 새로운 접근: 장비와 원산지 중심 전략
- 반도체 생산 장비는 미국이 압도적 점유율 → 이 장비를 ‘지렛대’로 활용.
- 예: “미국 장비 써서 만든 반도체, 미국이 돈 안 버는 건 말이 안 돼.”
- 장비 수출에 제한 또는 사용 조건에 따라 간접적 관세 적용 가능성.
7. 국가별 관세 문제와 우회 수출
- 과거 중국산 관세 회피 사례: 베트남·태국으로 생산 이전 → 원산지 변경.
- 미국은 이 점을 인지하고, 단순 국가별 관세 아닌 새로운 방식 고안 중.
-> 의견: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자가 그록대학, 퍼플렉시티대학 안다니고 관리할 수 있을까? - 티타임즈 (0) | 2025.04.28 |
---|---|
목적형 쇼핑에서 발견형 쇼핑으로 전환하는 아마존 - 티타임즈 (0) | 2025.04.23 |
엔비디아는 이제 반도체 만드는 회사가 아니다 (GTC 2025 리뷰) - 티타임즈 (0) | 2025.04.16 |
한국은 관세 폭탄인데, 캐나다는 관세 면제? - 언더스탠딩 (1) | 2025.04.14 |
양자컴퓨터를 만드는 5가지 핵심기술과 대결구도 - 티타임즈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