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중국 27

예상보다 부진했던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에도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이유 - STEPS, 정정영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예상보다 부진했던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에도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이유 STEPS, 정정영 1. 중국 GDP 경제성장률 발표 - 기대 성장률은 1%였는데, 중국 2분기 0.4% 성장. - 역성장 아닌 것만으로도 좋은 부분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나 생각. 2. 중국 부동산 - 쉽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 - 주택 담보대출 상환 거부 운동이 일어나고 있음. - 3개월 연속 역성장. 1개월 연속 하락세. - 중국 정부와 가계 재정 악화 중. - 부동산에서 개선되지 않으면 어려움. 3. 중국 소비 - 소비, 그래도 크게 무너지지 않았음. - 소비 지..

돈의 흐름을 알아야 ‘양털 깍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 머니클래스, 장한식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돈의 흐름을 알아야 ‘양털깍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유튜브: 머니클래스, 장한식 1. ‘양털 깎기’는 무엇? - 중국 작가의 화폐전쟁 책에서 쓴 단어. - 국제금융 재벌이 양털 깎기를 한다. - 자산거품을 일으키게 하고, 양털 깎기 준비. 버블이 붕괴되는 단계에서 국제금융 재벌이 싼 가격에 자산 매입. - 예를 들면, 한국도 IMF 시대에 국제 투기 자본에 헐값으로 넘어간 회사, 부동산 많았음. 2. 중국의 대처는 어떨지? - 중국은 양털 깎기 개념 잘 알고 있음. - 미국과 반대로 가는 중국의 통화정책. - 미국이 투자를 하는 것에 대해 ..

22년 주식시장 키워드 MZ세대부터 친환경까지 - 머니클래스, 박상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22년 주식시장 키워드 MZ세대부터 친환경까지 유튜브: 머니클래스, 박상현 1. 미국의 교역 전략, 어떻게 변화? - 대중 무역 축소 - 한국, 외교적으로 위치 잘 잡아야 할 것 2. 미국과 한국 교역량 내용은? - 삼성전자는 미국쪽으로 붙은 것 같음. - 하이닉스는 중국 투자 확대하려고 하는데 미국이 견제하는 것 같음. 3. 한국, 미국의 2차 전지 주요 공급망? - 한국에게 큰 기회일 것. 4. MZ 서대로부터 살펴보는 투자 아이디어? - 경제 장기 트렌드에서 인구 사이클 매우 중요. - 지금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후 파워가 줄어들고, MZ세..

주식시장의 큰 손 MZ세대, 주요 관심사는? - 머니클래스, 박상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시장의 큰 손 MZ세대, 주요 관심사는? 유튜브: 머니클래스, 박상현 1.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은? - 3.2%대 예상. 중국 관련 리스크 존재. 2. 한국경제는 수출에 달렸다? - 수출 여전히 중요. - 중국 보다 다른 선진국 수출 비중이 높아짐. - 반도체가 중요한 모멘텀. 3. 내년 소비 수준 전망? - 소비 더 좋아질 수 있는 여건 4. 내년 코스피 타깃 전망? - 2800~3300 정도로 예상. - 중국 관련 불확실성. 내년도 금리인상 불확실성. 5. 코스피 2800~3300 밴드 전망 이유? - 하단은 지지가 있을 것 같고, ..

흔들리는 중국, 경제 성장률 5% 무너질까? - 머니클래스, 박상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흔들리는 중국, 경제 성장률 5% 무너질까? 유튜브: 머니클래스, 박상현 1. 내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 - 내년에도 코로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듯 - 내년 1분기까지 고물가 전망. - 미국 성장률 4% 면 높은 편. - 한국은 성장률 3% 초반. 2. 미국 금리 인상 횟수와 속도 전망? - 내년 하반기 한차례 금리 인상 가능해 보임. 3. 22년 미중 무역분쟁 해소 가능성? - 쉬운 문제는 아닐 것. 명분이 있어야 함. - 대만 문제도 있음. 4. 6중전회 개막, 한국 기회요소는? - 내년 중국 성장률 5% 예상. 중국이 미국보다 성장률이 ..

[월간 투자 일지] 21년 9월 - 불확실성과 우려로 조정 받은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 월간 투자 동향과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종목, 섹터에 대해 정리하고, 공유드리는 공간입니다. [시장 전반 – 월간 동향] - 9월의 경우, 중국의 헝다그룹 파산 이슈와 공급 측면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변동성으로 인해 크게 조정 받으면서 7월과 8월의 상승세가 꺾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9월 말 FOMC를 통해 11월 중 테이퍼링 시작을 확정 지었고, 금리 인상 또한 22년부터 시작을 할 수 있다는 예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하지만 이외에 불확실성이 커진 중국 부동산 그룹 파산 이슈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9월 한 달 크게 조정을 받았습니다. - 10월에 3분기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두고 주가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인지, 아니면 박스권 조정을 이어갈지 지켜봐야 할 ..

4분기의 시작, 10월 대응 전략 - 중국과 미국 대외변수, 한국 증시 영향은? - 머니클래스, 김학균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4분기의 시작, 10월 대응 전략 - 중국과 미국 대외변수, 한국 증시 영향은? - 머니클래스, 김학균 유튜브: 머니클래스, 김학균 1. 헝다 사태 vs 리먼 브라더스? - 헝다 이슈, 중국의 로컬 문제로 봄. -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급력은 약할 것. 2. 중국 실물경제 경기둔화 우려 심각성은? - 정부의 개입으로 부실을 계속 떠안고 가는 모습 - 이미 시진핑 10년 동안 부실을 가지고 가는 모습이었음. - 장기적으로 중국 경제가 탄성을 가지고 좋아지지는 않을 것 같아 보임. 3. 중국증시 접근해도 될까? - 장기적으로 좋은 모습은 아닐 것 4..

[주간 투자 동향] 21년 10월 1주 차 - 인플레이션, 금리 우려로 하락한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주간 투자 동향 공유드립니다. 😄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다우와 S&P 500, 나스닥 모두 지난주 반등에도 큰 폭으로 하락했던 한주. - 주중 공급망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 상승, 그리고 중국발 금융위기 우려로 인해 크게 조정을 받았던 한 주. -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 1.4%대 유지. 미국 지수 등락 나스닥 -3.2% S&P 500 -2.2% 다우 -1.4% - 달러 강세, 금 소폭 상승, 유가상승.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경우, 지난주 하락에서 벗어나 반등하는 모습. 기타 지수 등락 원/달러 +1.0% 금 +0.4% WTI +2.6% 비트코인 +10.3% 이더리움 +7.0% - 중국 증시의 경우 상해종합지수는 하락하였으나, 그간 큰 폭의 하락을..

중국 헝다 파산우려, 공을 넘겨받은 중국정부 - 안유화 교수, 삼프로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중국 헝다 파산우려, 공을 넘겨받은 중국정부 유튜브: 삼프로TV, 안유화 교수 1. 헝다그룹 파산위기 - 중국에서 2위 부동산 기업. 다른 회사들도 현재 부채규모 매우 큰 편 - 헝다가 파산하기 전에 중국 정부가 도와주면, 다른 기업도 도와줘야 할 것 - 중국은 부동산이 무너지면, 전체 GDP 대비 규모가 크기 때문에 영향 클 것. - 어느 만큼의 충격인지 중국 정부 파악할 것. 2. 중국의 2가지 위기 포인트 - 1) 부동산 위기 : GDP의 대부부이 부동산 위에 지어짐. - 2) 지방정부 재정 위기 : 지방 정부 부채 수준 높은 편. 3. 중..

카테고리 없음 2021.09.26

[주간 투자 동향] 21년 9월 4주 차 - 중국 헝다그룹, 테이퍼링에도 반등한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주간 투자 동향 공유드립니다. 😄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다우와 S&P 500, 나스닥 모두 2주 연속 하락 이후 반등했던 한주. - 주 초반 중국 헝다그룹 파산 이슈로 인해 큰 폭의 하락이 있었으나 이를 주 후반에 만회했던 한 주. - FOMC 회의를 통해 11월 테이퍼링 시작을 확정 지었고, 22년 중 금리 인상도 가능하다는 전망.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 1.4%대로 상승. 미국 지수 등락 나스닥 +0.0% S&P 500 +0.5% 다우 +0.6% - 달러 강세, 금 소폭 상승, 유가상승.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경우, 중국이 암호화폐에 대한 전면적인 단속에 나설 것이라는 뉴스에 큰 폭으로 하락. 기타 지수 등락 원/달러 +0.1% 금 +0.0%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