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머니클래스 42

금융혁신의 승자는 누구인가? DeFi vs CBDC - 머니클래스, 정구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금융혁신의 승자는 누구인가? DeFi vs CBDC 유튜브: 머니클래스, 정구태 1. 디파이 (탈 중앙화 금용 서비스) 란? - 기존 금융 시스템과 달리 법정 화폐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금융 시스템. - 다양한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 2. 디파이, 금융이라고 할 수 있나? - 정부, 화폐를 다양한 수단을 위해 활용할 수 있으나 디파이는 컴퓨터 코드 기반. 3. 디파이가 금융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까? - 핀테크, 금융 시스템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음 - 디파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 배제하고도 운영 가능. 4. 디파이가 가진 한계는? - 속도가 느리다...

디지털 금, 새로운 투자의 문이 열린다 - 머니클래스, 정구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디지털 금, 새로운 투자의 문이 열린다 유튜브: 머니클래스, 정구태 1. 카르도, 어떤 회사인가? - NH농협이 설립한 디지털 자산 보관 관리 회사 2. 디지털 자산의 의미는? - 민간에서 만든 가상 자산 3. 디지털 자산, 코인/가상화폐의 차이는? - 비트코인은 화폐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짐. 그 이상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4. 코인 외에 디지털 자산은? -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defi - 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 5. 비트코인 = 디지털 금? - 보유의 목적으로 가지고 있어서 금과 유사한 패턴을 보임 6. 왜 이더리움을 알아야 하는가?..

주식시장의 큰 손 MZ세대, 주요 관심사는? - 머니클래스, 박상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시장의 큰 손 MZ세대, 주요 관심사는? 유튜브: 머니클래스, 박상현 1.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은? - 3.2%대 예상. 중국 관련 리스크 존재. 2. 한국경제는 수출에 달렸다? - 수출 여전히 중요. - 중국 보다 다른 선진국 수출 비중이 높아짐. - 반도체가 중요한 모멘텀. 3. 내년 소비 수준 전망? - 소비 더 좋아질 수 있는 여건 4. 내년 코스피 타깃 전망? - 2800~3300 정도로 예상. - 중국 관련 불확실성. 내년도 금리인상 불확실성. 5. 코스피 2800~3300 밴드 전망 이유? - 하단은 지지가 있을 것 같고, ..

흔들리는 중국, 경제 성장률 5% 무너질까? - 머니클래스, 박상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흔들리는 중국, 경제 성장률 5% 무너질까? 유튜브: 머니클래스, 박상현 1. 내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 - 내년에도 코로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듯 - 내년 1분기까지 고물가 전망. - 미국 성장률 4% 면 높은 편. - 한국은 성장률 3% 초반. 2. 미국 금리 인상 횟수와 속도 전망? - 내년 하반기 한차례 금리 인상 가능해 보임. 3. 22년 미중 무역분쟁 해소 가능성? - 쉬운 문제는 아닐 것. 명분이 있어야 함. - 대만 문제도 있음. 4. 6중전회 개막, 한국 기회요소는? - 내년 중국 성장률 5% 예상. 중국이 미국보다 성장률이 ..

지쳐가는 동학개미, 한국증시가 박스권에 갇혀있는 진짜 이유? - 박상현, 머니클래스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지쳐가는 동학개미, 한국증시가 박스권에 갇혀있는 진짜 이유? 유튜브: 박상현, 머니클래스 1. 미국 호재가 한국으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 - 미국은 서비스업 회복 중으로 한국의 호재는 아님. - 중국 리스크로 한국 증시도 같이 조정. - 한국 자체 리스크는 물가 2. 한국증시 박스권 탈출 어려울까? - 한국증시는 아직 중국 그늘이 아직 있음. 3. 중국 리스크 언제쯤 해소? - 미중 화상회의 이후? 어떻게 해결되는지를 봐야 함. 4. 미중 갈등 해소 가능성은? - 아직 큰 불확실성 있음. 5. 중국, 베이징 올림픽이 분기점? - 어느 정도는 합리..

뉴욕 주식시장 3대 지수는 연일 최고치 경신 중 - 박상현, 머니클래스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뉴욕 주식시장 3대 지수는 연일 최고치 경신 중 유튜브: 박상현, 머니클래스 1. 지칠 줄 모르는 뉴욕 증시, 이유는? - 글로벌 패권을 미국이 중국에게서 빼앗아 왔다. 2. 뉴욕 증시 랠리, 기축통화 효과? - 2010년 이후 압도적인 기업들 성장. 경제 위상. 기축통화. - 달러의 선순환. 3. 미국 국채금리 방향성은? -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면, 금리 인상을 할 텐데, 아직은 아님. 4. 파월 의장, Go? Stop? - 연임되지 않을까 생각됨. - 바이든 지지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연준 의장 교체하는 것 리스크이지 않을까 생각됨. 5. ..

반도체, 화폐전쟁, 탄소중립, ESG... 22년을 바꿀 핵심 이슈는? - 김광석, 머니클래스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반도체, 화폐전쟁, 탄소중립, ESG... 22년을 바꿀 핵심 이슈는? - 김광석, 머니클래스 유튜브: 머니클래스, 김광석 1. 반도체 신냉전 체제의 의미 - 반도체 공급망 국산화 -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인 상황 - 테슬라, 반도체 자체 제작하는 역량. 구조적인 변화. 2.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의 개념 - 관리 감독이 가능한 화폐 - 중국, 지급 결제수단으로 디지털 화폐 구축 중. 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때 선보일 예정. 3. 디지털 화폐, 개인의 사생활 문제는 없는가? - 익명성에 대한 리스크가 있지만, 중국은 할 수 있는 나라. - 중국..

기준 금리 인상 후 현명한 투자의 방향은? - 김광석, 머니클래스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기준 금리 인상 후 현명한 투자의 방향은? 유튜브: 머니클래스, 김광석 1. 한국은행, 올해 한 번 더 금리 인상할까? - 올해 한 번 더 금리 인상 있을 것. 1%대 금리로 회복 - 부동산시장 안정화 목적으로 완전한 회복이 되지 않았지만 금리 인상 2. 금리 인상의 시대, 현명하게 투자하는 방법은? - 현금 보유 비중을 늘리는 것도 좋은 투자다. - 앞으로 영끌해서 투자하는 방식은 안 좋을 것 같음. - 미국 중심 강한 회복. 달러 강세. 투자 대상으로 미국 시장 등 선진국 시장 투자가 좋지 않을까. 3. 통화정책으로 일어난 인플레이션은 정상으..

위드코로나 선언, 세계 경제 긴축의 시대? - 머니클래스, 김광석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위드코로나 선언, 세계 경제 긴축의 시대 유튜브: 머니클래스, 김광석 1. 경제 전망이 왜 필요할까? - 22년 경제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보여주는 역할. 2. 매년 경제 전망서를 발간하는 이유? - 경제 전망은 길라잡이 같은 역할. 3. 경제전망을 내는 방법론? - 내년 경제성장률을 맞추는 것 4. 2022년 경제는 얼마나 좋아질까? - IMF 세계 경제 전망치, 20년의 경우 대공황 이후로 -3.1% 성장률 기록 - 21년, +5.9% - 22년, +4%대 성장률 유지할 것으로 예상. (굉장히 높은 수준) 5. 선진국과 신흥국 격차가 벌어지고..

국민주의 배신, 네이버/카카오의 본격 반등은 언제부터? - 머니클래스, 김민수, 차영주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국민주의 배신, 네이버/카카오의 본격 반등은 언제부터? 유튜브: 머니클래스, 김민수, 차영주 1. 플랫폼 관련 주, 이제는 담아야 할 때? - 당분간 힘들겠지만 장기적으로 상승할 것. - 콘텐츠 강화 전략 잘 살펴봐야 할 것. 2. 네이버 vs 카카오, 둘 중에 고른다면 선택은? - 차영주님은 네이버 선택. 김민수님은 카카오 선택. 3. 카카오페이, 국민주로 흥행할까? - 요즘 실패하는 종목 거의 없음. 흥행하지 않을까. 4. 공모주의 시대는 이제 끝? - 주식시장 좋을 때 상장을 많이 하는 편. - 공모주도 이제 끝물로 보임. 주식시장 조정 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