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기침체 51

[주간 투자 동향] 23년 1월 2주 차 - 약한 경기 침체를 기대하며 상승한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주간 투자 동향 공유드립니다. 😄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2주 연속 상승했던 한 주였습니다. - 대형 금융사들의 실적이 좋지 않지만 약한 경기 침체를 기대하면서 투자 심리가 완화되며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는 소폭 상승한 3.7%에서 3.4%까지 하락했습니다. - 여러 경제, 정책적인 이슈들로 인해 매우 보수적으로 투자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지수 등락 나스닥 +4.8% S&P 500 +2.7% 다우 +2.0% - 달러 소폭 약세, 금 상승, 유가상승. - 비트코인, 이더리움 크게 상승. 기타 지수 등락 원/달러 -2.2% 금 +2.8% WTI +8.3% 비트코인 +19.4% 이더리움 +17.6% - 중국 증시, ..

작년처럼 하락할까? 2023 시장을 전망하다 - 김한진, 삼프로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작년처럼 하락할까? 2023 시장을 전망하다 유튜브 : 김한진, 삼프로TV 1. 벤자민 그레이엄 - 시장에는 무수한 변수가 있다. 이 모든 변수를 헤아릴 확률은 제로다. - 시장을 예측하는 사람들을 믿어서는 안 된다. - 주식은 약세장에서만 사고 강세장에서는 적당히 팔아라. - 안전마진 확보, 하락장에서 기회, 자신의 투자 스타일 찾기. 2. 2023년 증시, 어떤 관점으로 접근할까? - 물가

시작된 경기 침체, 3년 이상 간다 - 삼프로TV, 김한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시작된 경기 침체, 3년 이상 간다 유튜브 : 삼프로TV, 김한진 1. 올해 증시에 가장 영향력이 컸던 변수는 금리와 환율 - 새해 강세장 전환도 금리 및 환율 변동의 추세 변화와 관련이 깊을 것 2. 약세장 마무리와 강제상 전환을 알 수 있는 신호는? - 금리 하락 후 상승 반전 시점에 답이 있다 - 시장의 심리가 안정화되어야 하고, 금리가 더 낮아져야 한다. 3. 가격지표 (금융시장)를 통해 전환 시점을 간파할 수 있을까? - 금리 하락 추이에 발맞춰 주식 비중 확대 - 경기 비관론이 팽배하고 다수의 소프트 데이터가 동시에 엉망일 때 - 금리..

[월간 투자 일지] 22년 12월 - 경기 침체 우려로 크게 하락한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 월간 투자 동향과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종목, 섹터에 대해 정리하고, 공유드리는 공간입니다. [시장 전반 – 월간 동향] - 2달간의 반등 후 크게 하락했던 12월이었습니다. - 여전한 경기 침체 우려와 금리 인상 및 인플레이션 우려로 시장은 크게 하락했습니다. - 23년에도 경제 지표와 금리 인상 추이를 잘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월간 미국 지수 등락 나스닥 -8.7% S&P 500 -5.9% 다우 -4.1%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달러 약세. 금 상승. 유가 하락. - 비트코인 하락, 이더리움 하락. 월간 기타 지수 등락 원/달러 -4.1% 금 +3.8% WTI -0.4% 비트코인 -9.4% 이더리움 -13.4% - 중국 지수의 경우,..

[주간 투자 동향] 22년 12월 5주 차 -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한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주간 투자 동향 공유드립니다. 😄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4주 연속 하락을 기록했던 한 주였습니다. - 23년 경기 침체 우려와 금리 인상과 여전한 인플레이션 우려에 시장은 하락했습니다. -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는 소폭 상승한 3.8%를 유지했습니다. - 여러 경제, 정책적인 이슈들로 인해 매우 보수적으로 투자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지수 등락 나스닥 -0.3% S&P 500 -0.1% 다우 -0.2% - 달러 약세, 금 소폭 상승, 유가 소폭 상승. - 비트코인 하락, 이더리움 하락. 기타 지수 등락 원/달러 -1.3% 금 +1.2% WTI +0.9% 비트코인 -3.8% 이더리움 -3.9% - 중국 증시, 상해종합지수 상승, 항셍 지..

2023년 우리는, 가난에 대비해야 한다 - 삼프로TV, 김광석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2023년 우리는, 가난에 대비해야 한다 유튜브: 삼프로TV, 김광석 1.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시대 - 실질 소비 여력이 떨어지고 있음 - 금리 인상으로 가구당 이자상환 부담 상승 2. 경기 침체는 어떻게 찾아오는가? - 소비자심리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 줄어들고 있음. - 기업 투자 위축 - 제조업 재고율 늘어나고 평균가동률 낮아짐. - 현재 경기가 둔화되고 있음. 경기 침체는 23년에 예상. - 고용침체는 경기 침체 이후에 오는 것. 후행지표임. - 신용스프레드 여전히 높음. 기업이 자금조달하기 어렵다는 뜻. - 본격적인 어려움은 내년. -> ..

경기침체 피할 수없습니다 - 김작가TV, 김광석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경기침체 피할 수없습니다 유튜브: 김작가TV, 김광석 1. 경기침체와 경제위기는 다른가? - 완전히 다름. - 경제위기는 97년 외환위기, 08년 금융위기, 20년 코로나 위기 - 경기침체는 경제성장률이 낮다는 것. - 23년은 용인할 수 있는 경기침체일 것. - 경제위기는 소나기라면, 경기침체는 보슬비 2. 내년 전망? - 더 안좋아지면 경제위기가 될 수 있는 경기침체일 것. - 08년 금융위기와 2019년의 중간일 것. - 23년 상반기가 정말 안좋을 것. 3. 한국은행의 물가 전망? - 올해 5.1% - 23년 물가상승률 3.6%로 예상. ..

경기침체는 온다. 대피할 수 없다면 대비하라! - 삼프로TV, 김한진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경기침체는 온다. 대피할 수 없다면 대비하라! 유튜브: 삼프로TV, 김한진 1. 23년 세계경제 얼마나 침체? - IMF 2.7%, OECD 2.2%, 피치 1.7% (인플레 악화시 0.5% ~ 1.7%) - 미국 0.5%, 독일 -0.7%, 유로존 0.3%, 중국 4.7% 여부는 정책이 변수 - 미국은 가벼운 경기침체 예상. 유로존은 마이너스 성장 예상. - 내년 경제 나쁘게 볼 필요는 없음. 미국 경제는 크게 나쁘지는 않을 것. - 내년 4월~8월까지가 가장 안좋을 것. 조금씩 나아지는 센티멘트의 변화가 있을 것. - 미국은 고용이 매우 유연..

2023년 경기침체가 옵니다, 꼭 ‘이렇게’ 준비하세요 - 김작가TV, 김광석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2023년 경기침체가 옵니다, 꼭 ‘이렇게’ 준비하세요 유튜브: 김작가TV, 김광석 1. 경기침체는 어떻게 찾아오는 것인가? - 채권시장에서 온다. 돈맥경화부터 온다. 빚을 못갚는 경우 문제가 됨. - 자금 마련이 어려워짐. 은행에 가서 빌리는 대출금리가 높아짐. - 대기업이 수익성이 안나오는 사업은 정리가 됨. - 작은 중소기업들 또한 어려워지게 됨. - 수많은 Tier1, Tier2, Tier3 밸류체인이 도미노 처럼 무너지게 됨. - 지역경제, 소상공인까지도 힘들어지게 됨. - 아직은 경기둔화. 침체가 오지 않았음. 2. 채권시장이 얼어붙고..

[주간 투자 동향] 22년 11월 3주 차 - 금리인상 가능성에 하락한 증시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주간 투자 동향 공유드립니다. 😄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지난주 상승 이후 하락한 한 주였습니다. - 연준 인사들의 금리 관련 매파적인 발언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에 시작은 하락했습니다. -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는 3.8%를 유지했습니다. - 여러 경제, 정책적인 이슈들로 인해 매우 보수적으로 투자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지수 등락 나스닥 -1.6% S&P 500 -0.7% 다우 -0.1% - 달러 강세, 금 소폭 하락, 유가 크게 하락. - 비트코인 상승, 이더리움 하락. 기타 지수 등락 원/달러 +1.7% 금 -0.9% WTI -9.9% 비트코인 +2.2% 이더리움 -0.7% - 중국 증시, 상해종합지수 상승, 항셍 지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