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2023년 경기침체가 옵니다, 꼭 ‘이렇게’ 준비하세요 - 김작가TV, 김광석

샬롯의 투자일지 2022. 11. 20.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2023년 경기침체가 옵니다, 꼭 ‘이렇게’ 준비하세요

유튜브: 김작가TV, 김광석

 

1. 경기침체는 어떻게 찾아오는 것인가?

- 채권시장에서 온다. 돈맥경화부터 온다. 빚을 못갚는 경우 문제가 됨.

- 자금 마련이 어려워짐. 은행에 가서 빌리는 대출금리가 높아짐.

- 대기업이 수익성이 안나오는 사업은 정리가 됨.

- 작은 중소기업들 또한 어려워지게 됨.

- 수많은 Tier1, Tier2, Tier3 밸류체인이 도미노 처럼 무너지게 됨.

- 지역경제, 소상공인까지도 힘들어지게 됨.

- 아직은 경기둔화. 침체가 오지 않았음.

 

2. 채권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현상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는가?

- 회사채 미매각 현황에서 확인 가능. 자금마련에 실패한 기업 파악 가능.

- 현재 미매각율 58%. 빠른 속도로 회사채가 얼어붙고 있음.

- 회사채 만기가 쓰나미 처럼 도래함.

- 결국 회사채 발행을 꺼리게 됨. 사업규모를 줄이게 됨.

- 회사채와 국고채 신용스프레드가 커지게 됨. 회사들이 자금 마련이 어려워짐.

- 현재 데이터를 보았을 때, 23년 상반기에 경기침체 올 수 밖에 없음.

 

3. 채권시장이 진정되지 않으면 어떤일이 발생하는가?

- 국가 신용도가 걱정됨.

- 한국의 CDS 프리미엄 추이가 높아지고 있음.

-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투자를 꺼리게 됨. 자금 유입 줄어들게 됨.

- 경기침체를 막을 수단이 없음.

 

4. 주식 투자자 어떻게 해야할지?

- 지금 부터는 저점을 통과하는 구간.

- 23년까지는 실적 장세. 실적이 나오는 종목 투자 필요.

- 경기침체와 주식시장이 오르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 침체가 와도 주식은 오를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다는 점 유의 필요.


 

-> 의견: 경기침체가 오는 것과 주식시장의 움직임은 별개라는 점 유의해야할 것 같습니다. 각자의 투자원칙에 따라 투자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