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시장 유동성, 인플레이션 등에 대해 - 캐시 우드

샬롯의 투자일지 2021. 3. 7.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시장 유동성, 인플레이션 등에 대해

by 캐시 우드 - ARK Invest

 

<화폐정책 관련>

 

1. 연준은 지속적으로 서포트할 의지 있고, 유동성을 줄일 의지는 아직 없어 보인다.

 

2. 원자재 가격 상승 중. 구리가격 상승. 달러 하락. 부동상 하락. 비트코인 급락.

 

3. 완전고용이 물가보다 우선하며, 아직 연준은 대응할 계획은 없음.

 

 

<재정정책 관련>

 

1. 1.7~1.9 조 달러 규모 추가 부양책 예정. 3~4조 달러 인프라 구축 관련 재정정책 예정.

 

2. 가계소비 회복 중. 저축률 하락 중. 완전고용은 아니지만, 명확하게 경기 회복 진행 중인 상태

 

 

<금리>

 

1. 미국 10년물 채권금리 2%까지 갈 수 있다는 우려.

 

2. 0%에서 1.6% 이동은 큰 변동성. 채권이 오히려 버블이었음.

 

3. 시장에서 오히려 경기가 좋아지고 있으니, 이 정도의 유동성을 필요없다는 시그널을 보내는 것.

 

4. 연준은 시장의견을 따라갔기 때문에 비슷하게 시장을 따라갈 것.

 

5. 2016말 2017년초 정도 연준이 양적완화를 마치고, 금리를 올리려고 할 때, 시장이 매우 불안정하였음. 이 때도 주식시장이 불안했고, 가치주가 상승함. 금융주, 에너지주 주로 상승.

 

6. 하지만, bull market이 성장주 뿐만 아니라 가치주로 확산하는 것은 좋은 시그널. 2000년대 초반 IT버블의 경우, 성장주 급하게 상승하여 부작용이 있었음.

 

7. 16년말에, 17년 주식시장 전반적으로 좋았음. 비슷한 시기로 진입하고 있는 것 같음.

 

 

<현재 걱정들 - 비트코인>

 

1. 옐런이 비트코인에 대한 우려 표명. 아직 암호화폐를 이해하지 못하고, 가격변동성에 대해서만 코멘트 했다고 생각 함.

 

2. 금을 채굴하는 것에 비해 비트코인 채굴에 드는 환경적 영향 적다. 현재 결제 시스템에 드는 환경적 비용에 비해 암호화폐가 활성화되었을 때의 환경적 비용이 적을 것이며, 다양한 결제 시스템 발달할 것.

 

3. 비트코인이 불법적 거래로 쓰일 수 있다는 염려 또한 과한 것이며, 오히려 암호화폐는 투명하기 때문에 파악하기 쉬울 것.

 

4. 물론 현재는 변동성이 크고 투기적 성격이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쓰는 환경, 시스템을 구축하면 변동성 또한 줄어들 것으로 기대.

 

 

<현재 걱정들 - 금리가 PE에 주는 영향>

 

1. 금리가 줄어들었던 작년, 시장 평균 PE는 20~25정도 유지.

 

2. 금리가 기업가치평가에 주는 영향은 기업의 실적 보다 적다.

 

<현재 걱정들 - 디플레이션 우려>

 

1. 미국 국채 3년물이 3%대까지 가고, 시장상황이 안좋아지면 디플레이션 우려를 해야한다. 하지만 아직은 그럴 시기는 아님.

 

2. 두 가지 형태의 디플레이션이 있음.

 

3. 먼저, 좋은 디플레이션은 혁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디플레이션. 경제지표는 실물경제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디지털 영역에서의 혁신이 실제 경제지표로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

 

4. 그리고, 나쁜 디플레이션은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업이 위기에 처하면서 가격을 낮추고, 원가를 절감해야 하는 압력이 있을 경우에 나타남. 인텔과 IBM 같이 혁신을 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이 없기 때문에 가격을 낮출 수 밖에 없어짐.

 

5. 주식시장에서는, 나쁜 디플레이션 보다는 좋은 디플레이션이 오길 바래야 함.

 

 

 

-> 의견: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주식시장에서 성장주, 테크주 위주로 주가가 빠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파괴적 혁신에 투자하는 ARK Invest 또한 공매도 위협에 몰리며 불안한 상황인데요. 금리 변동성에 대해 시장이 과하게 반응하고 있는 부분도 없지 않지만, 3/16~17일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내용을 살펴보면서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 성급한 매수와 매도는 하지 않고, 어느 정도 시장이 안정화 되었을 때를 포착하며 투자를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