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포스트 코로나, 세계 경제의 향방은?_김일구, 김학균
유튜브: 슈카의 The Master (김일구 - 한화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 김학균 - 신영증권 리서치 센터장)
1. 올해 세계경제 전망?
- 선진국은 잘 가고, 후진국은 못하는 현상, 이어질 것.
- 신흥국과 선진국의 격차가 커질 것. 선진국 중에서도 미국과 다른 국가 간의 격차가 커질 것.
- 미국의 경우, 강력한 재정정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남.
2. 미국이 재정 부양에 열중하는 이유?
- 미국, 소련 냉전 시대에 체제 경쟁.
- 이와 유사하게 동맹관계 분명하게 하고, 부양의 효과가 중국으로 안 넘어가도록 하는 것.
-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애매한 상황.
- 중국은 지금 투자 과잉. 중국 투자는 추세 투자 어려울 수 있음. 중국 투자는 트레이딩으로 접근할 필요 있음.
- 미국의 성장이 세계의 성장으로 넘어가지만, 중국의 경우 그렇지 않다.
3. 중국식 사회주의 = 자본주의?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식 자본주의 추진.
- 알리바바의 케이스를 보면, 사회주의에서는 제2금융권 필요 없다는 분위기. 제2금융권을 통제해서 금융위기는 막고, 기업에게는 기회를 주는 사회주의식 경제
- 미국과 중국은 경제 체제의 경쟁 중.
4. 막대한 재정 확대 부작용은? 경기부양에 따른 호황은 언제까지?
- 미국은 기축통화국으로 버팀.
- 호황은 몇 년 가겠지만, 마지막에 더 이상 부양을 하지 않게 되는 시점에는 조심해야 함.
5. 미중 사이 분쟁이 한국에 끼치는 영향?
- 한국 안에서 투자를 하거나 고용을 늘리기 어려워질 것. 글로벌화로 내수경제는 어려워짐.
- 우리나라도 갈수록 저성장 국가로 갈 것.
6. 코스피 상승 어디까지?
- 최근에 상당히 의도적인 자산 상승.
- 전기차 전환에 투자. 최근에는 가격 높이고 비효율적인 방식의 투자. 인류의 가치에 투자하는 전환기.
-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은 주식시장.
- 우리나라는 미국 시장의 점유율 상승 중.
- 저성장 시대, 노동으로 돈 벌기 힘든 시대. 자산 시장의 성과가 더 크다면, 자산 투자 필수적. 코스피도 재평가 받는 시기가 올 것.
7. 젊은 세대에게 필요한 투자 전략은?
- 지난 1년은 예외적인 경험. 앞으로는 긴 호흡으로 투자해야 함.
- 투자는 본질적으로 있는 사람이 하는 것. 분산투자, 버티기 가능함. 짧은 호흡의 매매는 어렵다.
- 평생 투자하면서 확률을 높이는 것. 부자처럼 오래 기다리면서 투자해야 함.
- 남들 따라 사면 안됨. 펀더멘털을 보는 눈은 부족.
-> 의견: 국내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이 저평가 받았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잘 밸런스를 맞추어 국내 기업들이 잘 성장해 나갔으면 합니다.
중국 투자와 관련해서도 폐쇄적인 경제이기 때문에 단기 매매의 형태로 투자를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플레 공포, 금리인상! 그래도 미국주식 - 한국경제TV 경제전쟁꾼 (0) | 2021.05.27 |
|---|---|
|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 필립 피셔 (0) | 2021.05.24 |
| 인플레이션 리스크..17세기 통화이론으로 접목하면? - 교보증권 김형렬 센터장 (0) | 2021.05.20 |
| 향후 경기 시나리오.. 세가지 관점으로 예측한다! - SK증권, 이효석 팀장 (0) | 2021.05.18 |
| 서비스 소비의 반등.. 경기회복 VS 인플레 결론은? - 하이투자증권 조익재 전문위원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