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네이버 24

구글, 네이버 숨통 조일 AI 검색 - 퍼플렉시티, 서치GPT, 애플인텔리전스 - 티타임즈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구글, 네이버 숨통 조일 AI 검색 - 퍼플렉시티, 서치GPT, 애플인텔리전스유튜브: 티타임즈TV1. 인공지능 검색 기능 개발 중- 서치 GPT 기능, 퍼플렉시티도 검색 기능 개발 중- 구글 입장에서 검색에 인공지능 적용하는 부분 방어 필요 2. 기존 검색 서비스의 위기- 기존에는 검색 후 페이지를 찾아서 광고를 클릭하는 방식으로 광고 수익 창출했지만, AI는 광고 없이 바로 답변을 해주는 기능으로 광고 노출이 줄어들 수 있음- 광고시장 자체의 크기와 구글의 광고 시장 점유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능 3. 개발 현황- 퍼플렉시티는 엔비디아와 ..

돈 잘 벌고 돈 만은 네이버, 어쩌다 이렇게 삐걱거리게 됐나 - 삼프로TV, 이주호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돈 잘 벌고 돈 만은 네이버, 어쩌다 이렇게 삐걱거리게 됐나유튜브: 삼프로TV, 이주호1. 네이버의 당면한 이슈- 네이버 돈은 잘 버는데- 숏폼 좀 밀리고, 라인은 일본에서 이슈가 있음- 인공지능은 삼성전자와의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어서 이슈가 많음 2. 네이버의 자산 현황- 네이버는 광고와 쇼핑으로 돈 벌고 있음- 현금성 자산 5조- 관계사 지분 등 합치면 17조 원 넘게 보유 3. 향후 매출 전망- 문제는 광고 시장 앞으로 가파른 성장하기 어려움.- 쇼핑도 대부분 포화상태- 새로 개척할 시장이 없는 것- 네이버는 틱톡,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질주하는 네카오, 한번 더 믿어볼까? - 삼프로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질주하는 네카오, 한번 더 믿어볼까? 유튜브: 삼프로TV 1. 네카오 전망 - 네이버 카카오 지금 4분기 실적도 괜찮고 이익 성장률 관점에서 보면 4분기 실적도 괜찮고 모멘텀이 많음 - 카카오는 모멘텀이 상반기에 집중되어 있고, 네이버는 하반기에 집중 - 상반기는 카카오 위주가 될 거 같고 하반기에는 이제 네이버가 상대적으로 좋다 2. 카카오 - 카카오가 처해 있는 상황은 일단 23년도 실적이 매우 안 좋았고 22년 대비 이익이 역성장 - 지금 컨텐츠, 헬스케어, 모빌리티 3개 사업 성장 중 - 단기간에 반등 가능했음. 1월 초에 카카오가 강하게..

쇼핑, 맛집, 장소, 정보… 검색의 경계가 무너진다 - 티타임즈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쇼핑, 맛집, 장소, 정보… 검색의 경계가 무너진다 유튜브: 티타임즈TV 1. 네이버 큐로 할 수 있는 것 - 쇼핑에서 한번의 질의로 사용자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게 하는 것 - 구매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보여주는 것 장점 - 검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 - 새로운 검색 경험을 제공하여 기존의 검색을 더 잘 활용하는 것 2. 향후 방향 - 전 세계적으로 검색 서비스가 살아남은 나라가 한국 밖에 없음 - 검색 관련해서는 계속 앞서나가고 싶다 - 생성형 AI기반으로 초개인화된 대화형 AI 비서 서비스 제공 → 의견: ..

Cue: 만든 ‘네이버 큐’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대답 - 티타임즈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Cue: 만든 ‘네이버 큐’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대답 유튜브: 티타임즈TV 1. 네이버 리더 - 기술총괄 김용범 Naver Search US Chief Scientist와 기획 및 디자인 총괄 김재엽 Search Creative X 책임 리더 - 일단 NLP 전공을 했고요 그다음에 이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AI 비서 코타나를 만들었고 그다음에 이제 아마존에 합류해서 이제 알렉사를 만들었습니다 2. 네이버 큐 소개 - 네이버 큐, 네이버에 새로운 AI 검색의 시작, 그런 의미도 좀 담고 있음 -검색의 조력자 네이버 Cue 그래서 이제 그 두 서비스 ..

B2C가 체질인 네이버는 B2B로 돈 벌 수 있을까? - 티타임즈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B2C가 체질인 네이버는 B2B로 돈 벌 수 있을까? 유튜브: 티타임즈TV 1. 네이버 클로바X의 B2B 서비스 - 네이버 클로바X는 돈을 벌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이를 위해 B2B 쪽에 집중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클로바 X가 탑재된 클라우드 기반의 B2B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서비스는 네이버의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고, 기업 내부로 규제가 많은 산업을 가져와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생태계 구축 - 또한, 네이버는 생태계를 구성하여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네이버, 다음은 저무는해? 검색이 계륵이 됐다? - 티타임즈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네이버, 다음은 저무는해? 검색이 계륵이 됐다? 유튜브: 티타임즈TV 1. 검색 점유율 현황 -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 슬금슬금 줄어드는 추세라는 기사, 믿을만할까? - 월간 방문자수, 네이버는 3,900만명, 구글은 2,900만명, 다음은 800만명 - 네이버가 모바일 인덱스가 약세이긴 하지만 인터넷 트렌드는 약세는 아닌 것 같음 - 기관마다 수치가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네이버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면서도 구글이 굉장히 빠르게 올라온 것도 맞고, 다음이 약세인것도 맞는듯. - 네이버 점유율 62%, 구글 35% 정도 2. 네이버의 위기 ..

네이버가 돈 버는 방법 - 삼프로TV, 권순우 기자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네이버가 돈 버는 방법 유튜브: 삼프로TV, 권순우 기자 1. 네이버와 카카오 뭐 하는 회사? - 네이버는 포털사업자이고, 그중 매출은 광고, 콘텐츠 매출을 대부분 일으키고 있음 -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광고 비즈니스이고, 이외에 콘텐츠, 모빌리티, 금융 등 붙일 수 있는 형태. - 하지만 최근 플랫폼 무한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 사라졌고, 글로벌 규제도 굉장히 강화되는 추세 -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실적을 잘 보여줘야 하는 시대 2. 네이버 1분기 실적 - 1분기 광고 실적이 안 좋았음 - 검색광고는 5.3%가 늘었는데, 디스플레이 광고는 -..

삼성과 네이버의 ‘엔비디아 저격용’ AI 동맹 (2부) - 삼프로TV, 권순우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삼성과 네이버의 ‘엔비디아 저격용’ AI 동맹 (2부) 유튜브: 삼프로TV, 권순우 1. 네이버의 하이퍼 클로바 팀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의 윤리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 - 이를 위해 삼성전자 등 회사와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탑티어들이 함께 고민하는 부분들을 제시하여 각 문화권에서 필요한 데이터 셋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2. 개발 중인 부분 - 인간 중심적 AI 개발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인간 중심적 AI 개발이란, AI가 인간을 대신할 수 없으며, 인간과 AI가 함께 일할 때 서로의 강점..

웹툰 강국 한국에서 웹툰 강자는 누가 될까? 카카오, 네이버 VS 스튜디오 - 티타임즈TV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웹툰 강국 한국에서 웹툰 강자는 누가 될까? 카카오, 네이버 VS 스튜디오 유튜브: 티타임즈TV 1. 웹툰이라는 단어 탄생시킨 한국 - 국내 웹툰 시장 규모 1조 원. 해외까지 하면 더 큰 시장. - 중국, 일본, 미국 좋아 보임. - 몇 년 안에 수십조 원 예상. - 웹툰은 네이버 웹툰 김준구 대표가 만든 단어. - 네이버 웹툰 MAU 1억 8천만 명 2. 전 세계 주요 웹툰 회사 - 웹툰이 장르라서, 네이버와 카카오. - 중국은 중국의 플랫폼이 장악. - 국내에는 그 외에 리디북스, 레진코믹스 등 플랫폼 3. 웹툰 부흥의 계기 - 레진코믹스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