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지방 소멸이 수도권 집값에 치명적인 이유 - 언더스탠딩, 채상욱

샬롯의 투자일지 2023. 7. 12.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지방 소멸이 수도권 집값에 치명적인 이유

유튜브: 언더스탠딩, 채상욱

1. 부동산 관련

- 부동산의 소유권, 매매 가격이라는 것이 민법에서 말하는 권리의 합이라고 볼 수 있음

- 사용권, 수익권, 처분권 이렇게 3가지

- 토지는 입지, 건물은 상품

- 입지를 구성하는 요인 : 교통, 교육, 편의시설, 자연환경

- 건물 같은 경우 평형, 편의시설 등 다양한 요인

 

2. 지방 소멸 -현재 우리나라, 지방 소멸이라는 이슈가 화두

- 지방 소멸이라는 것, 결국에는 전세가율과 멀티플이 지방 소멸 여부를 다 보여주고 있음

- 미래가치가 큰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나타남 -성장성이 높거나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전셋값이 낮게 되어 있음

- 동일 지역 내에서도 멀티플이 달라짐

- 수도권 집중화가 되는 기간에는 멀티플이 뛰고, 지방은 멀티플이 낮아짐

- 부동산은 금리와 월세의 함수이다.

- 성장률과 전셋값의 몇 배가 집값이냐가 중요.

- 그 멀티플은 미래 월세가 반영된 숫자.

 

3.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멀티플 상승

- 미국과 일본도 도시 집중화가 상당히 많이 되어 있음.

- 하지만 한 30% 정도가 수도권, 도시에 집중되어 있는 수준.

- 우리나라는 이미 60% 이상이 수도권 집중.

- 한국은 사실상 수도권이라는 단일 생활권 국가화되어버림.

- 수도권 과몰입으로 미래의 수요를 당겨왔음. 하이 멀티플인 상황.

-우리나라의 GDP 대비 주택 가격이 다른 나라 대비 2배인 상황

 

4. 향후 지방 소멸 시나리오

- 낮은 출산율로 지방부터 빠른 속도로 소멸되고, 수도권도 순차적으로 소멸 예상

- 지방이 소멸되면서 수도권이 집중화되고 에너지를 얻음. 하지만 지방 소멸이 된 순간부터는 밸류에이션 피크일 것.

- 앞으로 20년 동안 수도권 집중 현상은 지방의 몰락에 달려있음

- 지방 소멸 이후로 멀티플의 정점은 찍을 것 같고, 그때부터 내려갈 일만 남았다고 생각

- 만약 그렇게 되면 다른 금융자산, 해외자산으로 투자 다변화될 것이기 때문에,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노력 있을 것


 

→ 의견: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