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금융권 초미의 관심사 STO
유튜브: 미래에셋증권 이용재
1. 여의도 초미의 관심사, STO란 무엇인가
- 자본시장법상 증권 상품을 분산 원장으로 디지털화한 증권형 토큰을 만든다.
- 투자계약증권, 뮤직카우로 인해 유권해석 시작.
- 이것들을 토큰화하는 것.
- 투자계약증권의 정의에 대해 의견이 분분 했음. 음원, IP, 유형자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됨.
2. 증권성 여부의 판단 기준
- 미국에서는 하위 테스트로 증권성을 판단
- 공동사업인지? 금전적 투자? 타인이 수행? 수익 귀속? 이익이 목적인지?
- 이러한 특성을 가진 코인은 증권형 토큰으로 해석될 여지 큼.
3. 증권성 여부가 중요한 이유
- 증권형으로 판단되면, 자본시장으로 들어오는 것
4. 증권형 토큰, 미래 금융의 KEY
- 투자계약증권을 토큰화하는 시장이 커질수록 재미있는 상품이 많이 나올 것.
5. 중요한 건 믿을 수 있을까
- 투자자 보호가 가장 중요.
6. 가이드라인에 관심, 핵심은 균형
- 테스트를 잘 해보고 신중하게 확대해나가야 하는 상황.
7. STO, 사업 관점에서 이렇게 봐야 한다
- 본인들의 기초자산이 STO를 했을 때 유리한지 파악 필요
- 발행을 직접 할 것인지, 다른 데에 맡길 것인지 파악 필요
- 발행 유통을 분리해야 해서, 예를 들면 미래에셋이 발행하는 토큰의 유통은 다른 플랫폼에서 해야 함.
- 눈 가리고 아웅 아닌가 하는 증권사의 반응.
8. 자산 토큰화 3단계와 금융업의 헤게모니
- 토큰화 순서
- 1) 신종 자산이 제일 먼저일 것. 미술품, 부동산, 와인, 럭셔리 굿즈 등
- 2) 유동성이 떨어지는 VC 펀드 등. 유동성이 부족한 전통 금융상품.
- 3) 주식도 토큰화 가능.
9. 증권형 토큰의 향후 과제
- 스테이블 코인 어떻게 대응할지가 과제
10. 증권업계는 어떻게 움직일까?
- 코인 관련해서 직접적으로 핸들링 하기 어려웠음.
- 사업화 방향은 계속 모색 중.
-> 의견: 기존 금융회사들과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어떻게 증권형 토큰 시장에서 사업화를 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 금융 쪽은 규제 산업이라 사업화를 위한 허들이 높았는데, 블록체인 관련된 사업도 그렇게 전개가 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디어, 트랙터 회사가 보여준 AI트랜스포메이션의 정석 - 티타임즈TV (0) | 2023.02.17 |
---|---|
콘텐츠와 기술, 둘 다 가진 ‘소니’가 보여준 융합의 정석 - 티타임즈TV (0) | 2023.02.16 |
엔터도 탈중앙화시대 팬덤 3.0이 시작됐다 - 티타임즈TV (0) | 2023.02.12 |
챗GPT의 원리는 이겁니다 -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 언더스탠딩 (0) | 2023.02.10 |
링크 100개 대신 답 1개 원하는 시대, 검색광고의 운명은? - 티타임스TV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