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엔터도 탈중앙화시대 팬덤 3.0이 시작됐다
유튜브 : 티타임즈TV
1. 소비왕 김덕후
- 굿즈의 개념이 넓어짐.
- 팬들끼리 만든 굿즈. 멤버들을 캐릭터로 만든 굿즈.
- 예를 들면, NCT 멤버들이 산리오 캐릭터가 되고, 굿즈를 팬들끼리 판매하는 예.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협업을 하게 됨.
- 음악과 패션 또한 결합되는 형태 보임. 예를 들면, NCT 팬의 시즈니룩. 무채색, 실버 아이템이 특징인 패션 룩.
- 덕질 용어가 대중화되기도. 예를 들면, 최애. 덕질 문화가 일반화되고 있다.
2. 슥뽕슥뽕 트위터 세상
- 슥뽕슥뽕 : 새로운 콘텐츠를 찾기 위해 트위터의 타임라인을 당길 때 나는 효과음.
- 트위터가 K-POP 팬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
- 트위터 팔로워가 많은 계정이 예전에는 주로 홈마 (홈페이지 마스터) - 연예인의 사진과 동영상을 고퀄리티로 찍어 개인 홈페이지나 SNS 계정에 올리는 팬- 였음.
- 요즘은 편집을 잘하고 주접을 잘 떠는 계정이 인기가 많음.
3. 덕후 자유선언
- 별다꾸 (별걸 다 꾸민다), 네컷사진
- 응원봉 꾸미기, 생일 카페
- 덕질로그
- 음악을 소비하는 개념이 달라진 것.
- 한 팀만 좋아하는 게 아니라 여러 팀을 좋아하는 멀티 스탠 (multi-stan)
- 팬덤 3.0 : 팬활동을 하는 자신의 행복에 집중하면서 나에 집중된 소비와 놀이, 콘텐츠 형태로 변화하는 것.
- 아티스트 없이도 덕질을 즐기는 나를 즐기는 것. 덕질하는 브이로그를 찍는 덕질로그.
- 기존의 팬덤 2.0은 소비와 생산을 동시에. 현재 3.0은 덕질하는 나를 즐기는 것.
- 총공 이제 더 이상 하지 않음. 피곤하다는 생각. 탈 중앙화와 비슷하지 않나.
4. K-POP 세계관이 주목받는 이유?
- 컨셉의 짧은 수명을 대체한 세계관.
- 앨범을 연결시킴. 팬들과 놀이.
- 가장 성공적인 케이스 BTS.
- 다양한 IP 확대 가능.
- 하지만 최근에 보면 세계관은 필수적이지는 않음.
5. 2023년 K-POP 시장을 전망한다면?
- 몇몇 아티스트가 K-POP을 이끄는 게 아니라 장르화되고 다양한 팀이 만들어짐.
- K-POP은 새로운 팬덤이 진입하기에 더 커졌다.
- 어떤 팀을 맹렬하게 좋아하지 않아도 팬들이 즐길 수 있는 상황.
-> 의견 : K-POP이 다른 방식으로 진화해나가는 것 같습니다. 각자의 투자 원칙에 따라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텐츠와 기술, 둘 다 가진 ‘소니’가 보여준 융합의 정석 - 티타임즈TV (0) | 2023.02.16 |
---|---|
금융권 초미의 관심사 STO - 미래에셋증권 이용재 (0) | 2023.02.15 |
챗GPT의 원리는 이겁니다 -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 언더스탠딩 (0) | 2023.02.10 |
링크 100개 대신 답 1개 원하는 시대, 검색광고의 운명은? - 티타임스TV (0) | 2023.02.09 |
이런 사업모델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 한국신용데이터 김동호 대표, 언더스탠딩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