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나이키도 증권가로 간다! STO가 뭐길래 - 인포맥스D

샬롯의 투자일지 2023. 2. 2.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나이키도 증권가로 간다! STO가 뭐길래

유튜브 : 인포맥스D

 

1. 증권형 토큰이란?

- 증권을 토큰 형태로 만든 것.

- 권리를 분산 원장 형태로 만든 것.

- 증권에 해당되는 것은 종이이든 토큰이든 상관없다는 의미.

- 기존 암호화폐 시장에서 발행한 토큰 중 증권형으로 분리된 부분은 자본시장법에 의해 정의됨.

 

2. 증권성 여부 판단 기준은?

- 하위 테스트 (Howey Test)를 통해서 투자계약증권 여부를 판단함.

- 미국 대법원에서 4가지 기준에 해당할 경우 투자로 보아 증권 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테스트

- 우리나라 법에서도 하위 테스트에 준하게 판단.

 

3. STO 제도화가 가지는 의미는?

- 자본시장법 중심으로 제도화하겠다는 의미

- 조각 투자와 토큰 투자를 자본시장법 중심으로 규제

-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금융자산 상품화하기 어려운 케이스가 많았는데 규제 안으로 들어오면 다양한 상품 출시 가능

- 규제가 확실해지면 투자에 대한 니즈 파악 및 사업화 가능.

 

4. 금융위 STO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 금융위가 의지를 가지고 제도화하려고 하는 것 같음.

- 발행과 유통을 분리

- 금융위원회 : STO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 한국거래소 : STO 상장 및 거래하는 ‘디지털 증권시장’ 개설 준비

- 금융투자협회 : 증권사와 ATS 설립 추진. ATS에 STO 상장 및 거래 준비

 

5. STO가 불러올 변화

- 토큰은 장외거래소처럼 거래를 하다가, 상장을 하고 싶으면 토큰의 성질을 분리해서 주식으로서 한국거래소에 상장하는 방향으로 추진

- 기존 토큰을 금융권 안으로 가져오려는 움직임.

- 크립토 업계에서는 우려하는 부분. 장외시장 유통 플랫폼은 증권사가 오너십을 가질 텐데, 거래 활발히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


 

-> 의견 : 증권형 토큰 관련 규제를 살펴보면서 각자의 투자 원칙에 따라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