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영혼을 담은 토큰은 어디에 쓸까? - 티타임즈TV

샬롯의 투자일지 2022. 9. 28.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영혼을 담은 토큰은 어디에 쓸까?

유튜브: 티타임즈TV

1. 샤이니 타이거, 김진아 작가 소개

- NFT 속에서 한국의 전설, 설화의 괴물들을 재해석 함.

- 미술사 공부하다가 작년부터 NFT 작품활동 시작.

- 원래 신화적인 것 좋아했음. 국내 및 해외에 알리고 싶었음. 전통이나 문화를 지키는 방법이라고 생각했음.

- 소울링크 갤럭시 라는 플랫폼 만들고 있음. Soul Bound Token (SBT) 운영 중. 소울을 연결한다는 의미.

 

2. SBT는 무엇인가?

- 영혼 귀속 토큰

- 소울 = 개인

- 소울, 내 지갑에 귀속되는 토큰이라는 의미.

-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 SBT는 양도 불가능한 토큰. 판매할 수 없음.

- SBT는 시스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 하나의 신원 증명. 탈중앙화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

- noox라는 플랫폼은 판매가 불가능한 뱃지를 주게 됨. 하나의 이력서, 증명.

 

3. SBT를 신분증으로도 사용할 수 있나?

- 신분의 증명이라기 보다는 지갑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해줄 수 있는 것 아닐까 생각.

 

4. SBT의 위험성은?

- NFT도 수정이 불가능. 영원히 기록이 남아있음. 기록하는 것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

- 아예 삭제하거나 숨기는 기능은 넣어야 하지만 스마트 컨트랙트 규격이 따라 달라질 것.

 

5. SBT를 활용한 웹 3.0은 웹2.0과는 뭐가 다른가?

- 아직 웹3가 웹2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트위터에 올리는 글 같이

- 뱃지 기능이 강화되면 웹3 더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6. SBT도 대중화가 가능할까?

- NFT가 대중화된 것은 수익화가 가능하다는 포인트인데, SBT는 몸에 새기는 문신 같이 타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컬렉터와의 특별한 관계를 위한 도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 의견: SBT라는 새로운 개념을 알게되는 시간이었습니다. 각자의 투자 원칙에 따라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