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한국시니어연구소 이진열 대표
유튜브: 언더스탠딩
1. 한국시니어연구소 소개
- 스마일 시니어라는 재가 요양 서비스 제공.
-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
- 전동침대 제공, 요양사 인프라 제공.
- 65세 이상 노인분에 대해 판정을 매기고 등급을 매김.
- 노인 중 기능 저하가 있다면, 소득 요양서비스 중 85%를 제공.
2. 재가 요양 서비스란?
- 재가 요양 서비스: 집에 방문하는 형태
- 이외에도 센터에 가는 형태.
- 요양 서비스는 정부가 민간에게 혜택을 주는 것.
- 하루 3시간 방문하시는 요양사 있을 경우 한 달에 15만 원 정도 지출.
- 신체 지원, 외부 이동, 치매 교육 등 포함.
- 전체 시장의 50% 정도. 이외에 데이케어 센터도 있음.
- 누구나 만들 수는 없고, 라이선스 필요. 사회복지사 라이선스가 있는 분들만 창업 가능.
- 간병인은 라이선스가 없는데, 요양센터와 요양보호사도 라이선스가 있음.
- 예전에는 요양보호사가 남았는데, 지금은 요양보호사를 못 구하는 집 많음.
- 요양보호사 구하는 문제가 큼.
-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
3. 국가가 원하는 구조와 시장 구조.
- 국가, 요양원보다는 집에서 요양 서비스 받았으면 좋겠다는 바램.
- 데이케어 센터에서 일대다 케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 국내, 2만 개 기관이 관리하고 있어서 파편화된 시장.
- 현재는 그래서 사업자는 많은데, 요양보호사가 없음.
- 공급자들을 위한 인프라를 깔기 위한 회사. 교육사업, 전동침대 등.
4. 대표님, 왜 이 일을 시작했는지?
- 이번은 두 번째 창업.
- 첫 창업 때 IT 서비스 좋아했음. 그때는 아이템이 아이돌 플랫폼. 돈을 벌기는 어려운 아이템이었음.
- 고령화 키워드에 대한 리서치로 시작. 시장이 크다고 생각.
- 아직 3년 밖에 안된 스타트업.
- 심리적인 진입장벽이 있음. 실제로 창업 잘 하지 않음. 행정처리, 운영이 까다로움.
-> 의견: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상보다 부진했던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에도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이유 - STEPS, 정정영 (0) | 2022.07.31 |
---|---|
아마존과 월마트는 왜 AR에 진심인가? - 티타임즈 (0) | 2022.07.29 |
일회용품 안 쓰는 최초의 카페, 보틀팩토리 - 이찌라 (0) | 2022.07.26 |
결국 1위는 또 애플… 전공자가 말하는 메타버스 시장의 미래 - 에스오디 (0) | 2022.07.25 |
라이다 없이 자율주행 5단계가 가능함? 완성차 업체들과 손잡는 루미나 테크놀로지 - 이짜라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