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엔비디아, 미국 주도 AI 경쟁의 룰이 바뀔 수 있다
유튜브: 티타임즈
1. 미국 증시 폭락과 딥시크 충격
- 1월말 미국 증시가 급락했으며, 그 원인은 중국에서 개발한 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의 등장 때문으로 분석됨.
- 엔비디아(-15%), 브로드컴(-17%), 마벨 테크놀로지(-20%) 등 주요 AI 관련 주식이 큰 폭으로 하락함.
2. 딥시크
- 중국 스타트업 하이플라이어(Highflyer)가 개발한 AI 모델
-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H-100/H-200)를 대량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저성능인 H-800 칩 2,000개만으로 오픈AI O1과 비슷한 성능을 냄
- 비용 절감 효과가 혁신적이며, AI 산업의 경제성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음
3. 주요 특징 및 논란
- 초저비용 AI: 기존 AI 모델 대비 학습 비용 3%, 운영 비용 95% 절감
- 오픈소스 공개: 누구나 실험 가능 → AI 개발 경쟁 가속화 예상
- 비효율성 타파: 기존 AI 모델(오픈AI, 구글, MS 등)이 의존하던 ‘더 많은 데이터, 더 강한 컴퓨팅’ 패러다임을 뒤흔듦
- 논란: 실제 학습에 더 많은 엔비디아 칩이 사용되었을 가능성. 데이터 학습 방식(합성 데이터 활용 여부)
4. 인공지능 산업 미래 전망
- 미국 중심의 AI 독점 체제가 흔들릴 가능성
- 기존 빅테크(구글, MS, 메타, 아마존 등)의 투자 전략 및 AI 산업 구조 변화 예상
- AI의 경제적 효율성이 새로운 핵심 경쟁 요소로 떠오름
- 향후 AI 기업들은 ‘딥시크의 경제적 효율성을 따라갈 수 있는가?’가 핵심 과제가 될 것
- 즉, 딥시크는 단순한 AI 모델이 아니라, AI 산업 전반의 경제적 패러다임을 바꿀 가능성이 있는 중대한 기술적 사건으로 평가됨.
→ 의견: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시크 공개는 시진핑의 노림수입니다 - 언더스탠딩 (0) | 2025.02.14 |
---|---|
댄 아이브스가 보는 딥시크의 정체 - 삼프로 (1) | 2025.01.31 |
구글, MS, 삼성SDS, 아마존의 각 분야 슈퍼 AI 에이전트 전략은? - 티타임즈 (0) | 2025.01.17 |
웨이모, 죽스, LG전자, 현대모비스가 선보인 모빌리티의 AI - 티타임즈 (0) | 2025.01.15 |
핵심사업에 집중하라는 말의 진짜 의미 - 티타임즈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