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껍데이뿐인 로보택시, 머스크는 왜 내놨을까 - 언더스탠딩

샬롯의 투자일지 2024. 10. 22.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껍데이뿐인 로보택시, 머스크는 왜 내놨을까

유튜브: 언더스탠딩

1. 테슬라 사이버 캡

- 테슬라가 진행한 행사에서 특히 로보택시 "사이버 캡"이 주목받았습니다.

- 사이버 캡은 스티어링 휠과 페달 없이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2인승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 탑승객은 목적지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택시로도 운영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테슬라 차량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로보택시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 이와 함께 테슬라는 로보택시 시장에서 경쟁을 준비하고 있으며, 3만 불 이하의 가격대로 저렴하게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2. 향후 전망

- 테슬라는 아직 공공도로에서 완전한 자율주행 서비스 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사유지에서 투자자와 인플루언서들을 대상으로 로봇 택시 "사이버 캡"의 시연을 진행했습니다.

- 비록 자율주행의 완전한 상용화는 몇 년이 걸릴 수 있지만, 테슬라는 2027년 이전에 완전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로봇 택시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테슬라는 특히 중국 시장에서 자율주행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통해 전기차뿐만 아니라 AI 기반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3. 중국 시장

- 중국의 자율주행 시장은 테슬라의 주요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인프라를 적극 지원해 빠른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 중국의 저렴한 차량들과 경쟁하기 위해 테슬라는 생산 프로세스 완전 자동화를 목표로 하며, 생산 비용을 크게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테슬라는 새로운 "언박스드 프로세스"를 통해 마지막 조립 과정까지 자동화하려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규모 생산과 비용 절감을 달성하려 합니다.

 

4. 전반적인 평가

- 테슬라는 또한 자율주행 기술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기술 완성도와 규제 문제 등으로 완전한 자율주행(레벨 5) 달성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이러한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로봇택시와 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계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 다만, 최근 발표된 로봇택시 행사는 기대보다는 부족한 면이 있었고, 약간의 쇼맨십이 느껴졌습니다.


 

→ 의견: 테슬라가 시연을 통해 로보택시를 선보였습니다. 향후 전망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