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흔들리는 유니콘 신화 - 언더스탠딩, 이재용 회계사

샬롯의 투자일지 2023. 5. 28.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흔들리는 유니콘 신화

유튜브: 언더스탠딩, 이재용 회계사

 

1. 유니콘 스타트업들 22년 재무제표

- 야놀자는 인터파크 인수로 큰 규모의 투자 집행. 그리고 클라우스 매출 셋업 단계로 아직 시작 단계.

- 전반적으로 유니콘 기업들, 매출은 늘었는데, 흑자가 늘어났거나 적자가 줄어드는 기업은 없었음.

- 성장을 위해서 투자 계속하고, 현금이 나가는 부분이 있었음.

 

2. 각 회사 세부 사항

- 리디, 흑자를 냈지만, 최근에 적자 발생. 웹툰 작가나 PD 등 수수료 많이 쳐줘야 좋은 작가들을 모을 수 있어서 비용 발생.

- 한국신용데이터, 캐시노트 라는 앱에서 현금을 벌고 있지는 않음. 구독플러스 라는 자영업자 대상 구독 모델 큰 돈이 벌리지는 않음.

- 토스, 대출이나 증권 등 시장이 좋아야 돈을 벌 수 있는 사업 영역.

- 직방, 이전까지는 광고 매출이 있었는데, 규제 때문에 더 확장할 수 없었음. 삼성SDS의 홈 IoT 사업부 인수. 하드웨어 매출 찍어내는 것 어려움이 있는 듯.

- 오늘의집, 인테리어 매출이 메인인데 최근 어려움. 영업적자여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항상 흑자였는데, 이제 지금은 재고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 인테리어 니즈도 줄었음.

- 메가존 클라우드, 클라우드 SaaS MSP 기업. 매출액 대비 원가율이 너무 높음.

- 당근마켓, 매출액의 대부분이 광고 매출. 당근마켓은 광고 매출의 비중이 큰 것이 문제가 아니라 광고 단가가 낮은 게 문제인 경우. 1,200만 명이 하루에 10번씩, 20번씩 들어오게 만들어야 광고비가 올라가는데, 당근마켓은 정말 필요할 때만 들어가는 게 문제. 여러 가설 검증하고 있는데, 답답하게 잘 안되는 중.

- 컬리, 쿠폰 없이 쇼핑하는 습관 만들게 하기 어려운 부분.

- 앞으로는 독점적인 사업자여야 살아남을 수 있음. -우리나라 스타트업 중에 최근 들어서 가장 성공했던 회사는 배민, 쿠팡이라고 생각. 이커머스에서 메가트렌드를 선도하고 지배적인 사업자가 되었기 때문에 이에 돈을 벌 수 있게 된 것.


-> 의견: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만큼 스타트업들도 수익화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 같습니다. 더 다양한 시도를 하고, 가설을 검증하되 비용도 신경을 많이 쓰면서 사업을 해나가야 하는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