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주간 투자 동향 공유드립니다. 😄
[시장 전반 – 지수 동향]
- FOMC 회의 당일에는 시장은 23년 금리인상 및 22년 테이퍼링을 예상한 듯 무난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금요일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의 22년 금리인상 발언으로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며 주간 마감
- 하지만, 금리인상 발언에도 불구하고 10년물 국채 금리는 1.45%대로 급락하면서 성장주는 오히려 상승하거나 버티고, 경제활동 재개 관련 주식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 유럽에서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여행객과 이동을 규제하는 모습을 보이며 유럽증시가 하락한 영향을 미국 또한 받은 것으로 보임
- 성장주 위주의 나스닥은 버텼으나, S&P 500과 다우지수는 크게 하락. 다우지수는 8개월만에 주간 큰 폭 하락.
미국 지수 등락 | |
나스닥 | -0.3% |
S&P 500 | -1.9% |
다우 | -3.5% |
- 달러 약세, 금 하락. 하지만 유가는 3주 연속 상승세.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소폭 하락하며 반등 아직 어려운 상황.
기타 지수 등락 | |
원/달러 | +1.9% |
금 | -5.8% |
WTI | +1.0% |
비트코인 | -5.7% |
이더리움 | -8.9% |
- 중국 증시의 경우 두 지수 모두 3주 연속 하락.
중국 지수 등락 | |
상해종합 | -1.8% |
항셍 | -0.1% |
- 코스피, 코스닥의 경우 3주 연속 상승. 코스피는 역사상 최고치를 갱신! 외국인이 돌아오고 있으며 오랜기간 조정을 받아와서 이제는 개별 종목 장세로 이어지는 모습.
국내 지수 등락 | |
코스피 | +0.6% |
코스닥 | +2.5% |
[시장 전반 – Fear & Greed 지수]
- Neutral에서 Fear로 변경.
- 주식시장 변동성을 보여주는 VIX 지수, 전주 대비 소폭 상승.
[암호화폐 – Fear & Greed 지수]
- Fear에서 Extreme Fear 로 변경.
[섹터 - 주간 등락률]
- 테크 섹터만 유일하게 주간 상승
상위 3개 섹터 | |
테크 | +0.1% |
경기소비재 | -0.6% |
헬스케어 | -0.7% |
- 이외 섹터 모두 하락. 특히 소재, 금융, 에너지 섹터 하락.
하위 3개 섹터 | |
소재 | -6.3% |
금융 | -6.2% |
에너지 | -5.4% |
<섹터 - S&P 500 주간 등락률>
[종목 – 주간 등락률]
- AMC (영화 극장) : 경제활동 재개 기대감, 그리고 밈 주식 열풍으로 상승
- 쇼피파이 (이커머스) : 구글, 페이스북과 협력하여 쇼피파이의 체크아웃 상품 결제가 가능해진다는 소식에 큰 폭으로 상승 😁
- 트윌리오 (클라우드 인프라), Atlassian (소프트웨어) : 그간 고평가 우려로 하락했던 기술주 중 실적이 탄탄한 종목 반등
- Xpeng (중국 전기차) : 기술주 상승에 중국 전기차 관련 주 동반 상승.
상위 5개 종목 | |
AMC | +19.9% |
쇼피파이 | +17.6% |
트윌리오 | +10.5% |
Atlassian | +9.2% |
Xpeng | +8.9% |
- 프리포트-맥모란 (광산), 아르셀로미탈 (철강), 뉴코 (철강) : 소재 가격 상승과 2분기 실적 피크아웃 우려로 그간 상승했던 경제활동 재개 관련 주식 하락. 😮
- 로블록스 (메타버스) : 음원 관련 이슈를 해결하고 있다는 뉴스가 보도되었으나 주간 하락 마감.
- 씨티 (상업은행) : 10년물 국채 금리 하락과 2분기에 주요 금융 주의 경우 트레이딩 관련 매출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하락. 😨
하위 5개 종목 | |
프리포트-맥모란 | -14.4% |
아르셀로미탈 | -14.4% |
뉴코 | -12.7% |
로블록스 | -12.6% |
씨티 | -11.6% |
[종목 – 실적 발표 내용 및 일정]
<주요 실적>
-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 어도비, 레너, 크로거
<다음 주 실적 발표 일정>
날짜 | 종목 | 비고 |
6/24 (목) | 나이키 | 의류, 리테일 |
[종목 – 주간 주요 국내 주식]
- 카카오 (인터넷) : 카카오뱅크등 주요 자회사 상장이 가시화되며 시가총액 3위로 상승 😃
- 하이브 (엔터테인먼트) : BTS 신곡 호재 및 콘서트 재개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로 상승
- 삼성엔지니어링 (건설) : 재건축 재개발 및 건축 수요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상승
- LG생활건강 (필수소비재) : 여행 재개 기대로, 면세점 매출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에 상승
- 두산퓨얼셀 (수소, 연료전지) : 글로벌 선사와 선박용 연료전지 합작법인 설립 소식에 상승
상위 5개 종목 | |
카카오 | +14.4% |
삼성엔지니어링 | +13.7% |
하이브 | +13.6% |
LG생활건강 | +10.1% |
두산퓨얼셀 | +8.7% |
- 한진칼 (항공, 물류), 두산밥캣 (기계, 중공업), 한국조선해양 (조선) : 경제활동 재개 주 2분기 피크아웃 및 고평가 우려로 하락 😨
- 롯데지주 (지주사), 롯데쇼핑 (커머스) : 이베이 코리아의 우선협상이 신세계-네이버에게 감으로 인해 탈락한 롯데 관련 주식 하락 😣
하위 5개 종목 | |
한진칼 | -11.9% |
롯데지주 | -5.7% |
두산밥캣 | -5.7% |
한국조선해양 | -5.4% |
롯데쇼핑 | -5.3% |
[종목 – 다음 주 대응 전략]
- 3주 연속으로 이어오던 상승세가 FOMC를 기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나스닥은 버텼으나, 다우지수 같은 경우 8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연준위원들과 시장의 생각이 반영되었는데, 오히려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불확실성과 경제활동 재개가 지연된다는 우려로 인해 시장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이번주는 그간 상승이 어려웠던 테크, 헬스케어가 잘 버텨준 한 주였습니다.
- 반면에 그간 상승해왔던 금융, 소재, 산업재, 에너지 섹터는 지난주에 이어 쉬어가는 분위기 입니다.
- 연준 위원들 간에도 서로 다른 의견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어느 때 보다도 정치와 정책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 상황이라 시장이 잘 적응하는지 점검하고 투자 해야할 것 같습니다.
- 7월은 또 다시 2분기 실적 발표 시즌으로, 대부분 실적 전망이 좋게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3분기, 4분기 전망을 각 회사들이 어떻게 내놓는지 한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코스피가 역사상 최고치를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너무 조용한 분위기 입니다. 🤔
- 불확실성이 커서 시장의 방향성이 명확하지 않아서 그렇지 않을까 생각되고, 한국 시장의 경우 조정 기간이 길어져서 그런지 다시 개별 종목 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 중국 시장에 비해서 강한 한 주를 보내고 있는데, 다음주에도 이런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오늘도 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모두 건강 잘 챙기시고 즐거운 한 주 보내시기 바랍니다. 😄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에 따라 스스로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셔야 하며, 그에 대한 결과는 모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각자의 투자 원칙을 만드시고, 그 원칙에 따른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 데이터 출처: 미래에셋대우, finbiz.com, sectorspdr.com, money.cnn.com, www.earningswhispers.com, finance.yahoo.com, pixabay.com, alternative.me/crypto/fear-and-greed-index
'Daily 투자일지 > 주간 투자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투자 동향] 21년 7월 1주 차 - 사상 최고가 행진, 상승세 유지 (0) | 2021.07.03 |
---|---|
[주간 투자 동향] 21년 6월 4주 차 - 긍정적인 신호들, 상승세를 유지한 시장 (0) | 2021.06.26 |
[주간 투자 동향] 21년 6월 2주 차 - 반등을 시작한 성장주, 시장은 적응 중? (1) | 2021.06.12 |
[주간 투자 동향] 21년 6월 1주 차 - 반등을 준비하는 시장? 불확실성 해소? (0) | 2021.06.05 |
[주간 투자 동향] 21년 5월 4주 차 - 안정을 되찾은 시장, 어디로 움직일까? (0) | 2021.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