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상 기록

월가 최고의 적중률 Tom Lee의 투자전략-위즈덤 칼리지 하이라이트 - 삼프로

샬롯의 투자일지 2024. 12. 13. 08:30
728x90

 

안녕하세요, 샬롯의 투자 일지입니다.

일주일 동안 보고, 들었던 콘텐츠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드려요! 😉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월가 최고의 적중률 Tom Lee의 투자전략-위즈덤 칼리지 하이라이트

유튜브: 삼프로

1. 분석 철학

- 주식시장은 경제와 금융 구조의 최종 반응체로 보며, 주요 요인(경제 데이터, 채권 리스크 등)이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봄.

- 시장의 컨센서스(대중적 의견)는 투자 기회로 활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예기치 못한 변화나 놀라움을 중시.

- 인구 구조와 같은 장기 요인을 주요 분석 요소로 삼음.

 

2. 시장 예측 방법

- 단기 및 장기 목표는 개별 기업 이익을 기반으로 설정.

- PER(주가수익비율)을 절대적 척도로 보지 않으며, 기업 이익의 변동 가능성을 중심으로 분석.

- 시장을 개별 기업의 집합으로 보고, 특정 주식이나 섹터가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3.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 미국은 소비 중심의 안정적인 경제 구조로 인해 과거 제조업 중심 경제보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낮아짐.

- 소비자 부채 부담이 낮고, 정부 부채가 경기 침체를 유발하지 않는다고 평가.

 

4. 자산 가격과 인플레이션

- 자산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으로 직결되지 않으며, 소비자 기대가 주요 변수로 작용.

- 주식 시장의 강세는 부유층 중심이기에 전체 경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음.

 

5. 골드만 삭스와의 관점 차이

- 골드만 삭스는 S&P 500의 장기 수익률을 낮게 예측했으나, 이는 과거 데이터와 모순된다고 지적.

- 인구 구조, 기술 발전, 정부 정책 변화 등 기존 지표에 반영되지 않는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

- PER 감소만으로 낮은 수익률을 예측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분석.


 

→ 의견: 투자 아이디어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